아프간 정권은 다시 탈레반 손에
녹록지 않은 ‘포스트 아프간’

9•11테러 이후 미군 철수까지 아프간 전 주요일지
9•11테러 이후 미군 철수까지 아프간 전 주요일지

미국 역사상 최장기 해외 전쟁인 아프가니스탄전이 30일(현지시간) 막을 내렸다.
미국이 철수 시한인 31일을 1분 남겨둔 30일 밤 11시 59분(아프간 현지시간) 탈레반이 장악한 아프간에서 민간인 대피 작전을 끝내고 20년간 주둔한 미군 철수까지 마무리해 이날부로 아프간전은 끝났다.
2001년 뉴욕 무역센터 등에 대한 9·11 테러가 발생한 다음 달 '테러와의 전쟁'을 명분으로 시작된 미국 주도의 서방 진영과 아프간 내 탈레반의 싸움이 이제 역사의 한 페이지로 넘어간 것이다.
애초 전쟁의 원인 제공자는 탈레반이 아니었다. 미국은 9·11 테러 배후로 지목한 알카에다의 수장 오사마 빈라덴을 당시 아프간 정권을 쥔 탈레반에 인도할 것을 요구했지만 이를 거부하자 아프간을 침공해 전쟁이 시작됐다.
유럽 등 서방과 합세한 미국은 탈레반을 축출한 뒤 친미 정권을 세우고 2011년 5월 빈라덴까지 사살했지만 미국은 내내 전쟁의 수렁에 빠져 나오질 못했다.
조지 W. 부시 때 시작된 전쟁은 이후 물적, 인적 피해 증가와 더불어 미국 내 반전 여론 고조라는 저항에 부딪혔다.
버락 오바마, 도널드 트럼프 등 정권마다 아프간전 종식과 미군 철수를 내세웠지만 조금만 더 밀어붙이면 탈레반을 소탕할 수 있다는 국방부 등 매파의 주장에 밀려 뜻을 이루지 못했다.
당연히 전쟁 비용은 천문학적으로 치솟았고 인명 피해도 커졌다.
바이든 정부가 미군 철수 후 아프간 정부군이 탈레반을 자력으로 막아내거나, 정권이 무너진다 해도 내년 말, 적어도 올해 말까지는 버틸 것으로 오판한 결과였다.
특히 탈레반은 지난 15일 마지막 보루이던 수도 카불을 함락하고 아슈라프 가니 대통령마저 해외로 도피하는 바람에 2001년 이후 20년만의 정권 재장악에 성공했다.
로이드 오스틴 미 국방장관이 아프간 정부의 붕괴까지 1∼2년이 걸릴 것으로 예측했지만 11일 만에 무너질 줄은 누구도 예상하지 못했다고 말할 정도다.
당장 미국과 동맹의 국민, 미국에 협력한 아프간 현지인의 대피 문제가 발등에 떨어진 불이 됐다.
미국은 군대 6천 명을 새로 투입해 탈출로인 카불 공항을 통제하며 힘겨운 대피작전에 들어갔다.
미군 철수 완료로 아프간전은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지지만 '포스트 아프간전' 정국도 만만치 않은 논란 속에 숱한 해결 과제를 남겨두고 있다.
미국이 당분간 아프간 문제에서 손을 떼기도 어렵다. 추가 대피 작업이 필요한 상황인데다, 탈레반이 현지 조력자 보복에 나설 공산이 크고 여성 등 인권 탄압 우려가 상당하다.
권좌에 오른 탈레반과 관계 설정도 쉽지 않은 문제다. 중국과 러시아는 탈레반에 상대적으로 우호적이다.
자살폭탄 테러를 벌인 IS-K에 대한 응징 역시 미국의 남은 과제다.
미국의 훼손된 이미지 회복과 함께 철군 과정에서 빚어진 동맹과 불협화음을 해소하고 최우선 목표인 대중 견제 전선에 동맹을 규합하는 숙제도 떠안고 있다.
20년 전쟁에 피폐해진 아프간 역시 상황이 호락호락하지 않다. 당장 탈레반은 국제사회에서 합법적 정부로 인정받아야 하는 과제가 남아 있다.
미국이 빈라덴을 사살하고 알카에다를 빈사 상태까지 내몬 것을 제외하면 아프간의 시계는 사실상 2001년 10월 전쟁 개시 이전의 원점 상태로 되돌아갔다는 혹독한 평가가 나오는 이유다.(연합)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