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메탄서약에 중·러·인도 불참…탄소 중립 시한도 제각각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보리스 존슨 영국 총리가 2일(현지시간) COP26에서 산림·토지 이용 관련 세션에 참가하고 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보리스 존슨 영국 총리가 2일(현지시간) COP26에서 산림·토지 이용 관련 세션에 참가하고 있다.

전 지구적 과제인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1(현지시간) 영국 글래스고에서 열린 제26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6) 특별 정상회의에서 산림 보호, 메탄 감축과 관련한 합의가 나왔다.

그러나 각국의 정치·산업적 이해관계가 엇갈리면서 시선을 끌 만한 획기적인 합의는 도출되지는 않았다.

한국 등 105개국은 1산림·토지 이용 선언’(Declaration on Forest and Land Use)을 발표하고 산림 파괴를 멈추고 토양 회복에 나서기로 합의했다.

이 합의엔 미국, 서유럽의 서방 선진국은 물론 세계 산림의 85%를 차지하는 브라질과 인도네시아, 콩고민주공화국까지 이름을 올렸다.

또 정상회의에 불참한 중국과 러시아도 이 선언에 동의했다.

보리스 존슨 영국 총리는 이제 우리는 자연의 정복자로서 긴 역사를 끝내고 보호자가 될 기회를 맞았다라고 의미를 설명했다.

이번 선언은 201440여 개국이 발표한 뉴욕 선언의 연장선이며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재원 등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한발 더 나아간 것으로 평가된다.

2030년까지 메탄 매출량을 2020년 대비 최소 30감축한다는 내용의 국제 메탄서약도 합의됐다.

미국과 유럽연합(EU)이 주도한 이 서약에는 한국과 함께 세계 메탄 배출량의 50이상을 차지하는 100여 개 국가가 서명했다. 세계 5대 메탄 배출국인 브라질도 동참했다.

메탄가스는 천연가스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성분으로, 온실효과를 일으키는 온난화 지수가 이산화탄소의 약 80배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은 이날 국내 감축 조치를 선제적으로 발표하며 각국에 참여를 독려했다.

하지만 최대 메탄 배출국으로 꼽히는 중국, 러시아, 인도는 빠져 전지구적 합의로 평가되기엔 부족했다.

탄소 중립 목표 시한도 제각각이었다.

COP26에 직접 참석한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는 12070년까지 탄소 중립(넷 제로·net zero)을 달성하겠다고 연설했다.

중국과 러시아, 사우디아라비아는 2060년을 탄소 중립 시한으로 발표했다.

이는 미국 등 서방 선진국이 요구하는 2050년보다 10, 20년 뒤다.

존슨 총리는 2COP26 특별정상회의 이틀째 회의를 마친 뒤 기자회견에서 우리는 현장에 폭탄처리반을 가동해 전선을 자르기 시작했다면서 올바른 전선이기를 희망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중국, 러시아뿐 아니라 터키, 남아프리카공화국, 브라질 등 주요 탄소 배출국의 정상도 영국으로 오지 않아 기후변화 유엔 총회라는 취지가 무색해졌다는 평가가 나온다.

미국과 중국의 첨예한 대립은 COP26 회의장에서도 이어졌다.

조 바이든 미 대통령은 이번 행사를 통해 전임자 도널드 트럼프가 탈퇴한 파리기후변화협약 복귀를 알리며 환경 문제에서 취약점을 드러내는 중국을 압박하는 기회로 삼았다.

바이든 대통령은 2일 기자회견에서 중국과 러시아가 (국제회의에) 참석하지 않은 것은 문제라며 우리는 참석했다. 이를 통해 세계에 미국의 역할을 확실히 각인시켰다라고 공세를 폈다. [연합]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