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자치단체 가운데 남북교류협력사업의 물꼬를 처음 튼 곳은 제주특별자치도다. 지난 1999년 감귤 100t을 보낸 것으로 시작된 감귤·당근 북한보내기사업은 10여년 동안 이어지다 2010년 3월 천안함사건에 따른 정부의 5·24조치로 완전히 끊겼다. 제주도는 그러다 2014년 민족평화 제주포럼에서 △감귤 등 제주농산물 보내기 △제주~북한 평화 크루즈 항로 개설 △한라·백두산 생태·환경보존 공동협력 △한라에서 백두까지 남북한 교차관광 △제주포럼 북측 인사 초청 등 5개 사업을 북한측에 제시했다. 또 이듬해에는 제주의 분산 자립형 에너지 조성 모델을 지원하는 남북 에너지 평화협력을 제안한 바 있다.
하지만 경색된 남북관계가 아직도 해소되지 않고 최근에는 북한이 중거리 탄도미사일을 시험 발사하는 등 긴장이 오히려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제주도가 제주형 남북교류협력사업을 추진한다고 밝혀 눈길을 끈다. 제주도는 제주형 사업의 구체적 실행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남북교류협력위원회에 분야별 실무위원회를 구성, 운영하고 이달 말 전체회의를 개최한다는 방침이다.
정부 차원에서의 교류가 사실상 전면 중단된 상태에서 지자체가 나서서 교류협력사업을 펼치는 것은 충분히 의미가 있다고 본다. 그러나 도내 내세운 주요 사업을 보면 남북교류 및 평화통일 관련 도민 아카데미, 대학생 대상 통일교육 강좌나 안보현장 방문, 통일교육주간 평화통일교육 포럼, 제주-경기 공동 지자체 남북교류협력 워크숍 개최 등 형식적이거나 이론적인 행사에 너무 치우쳐있다는 지적이다.
제주도는 구호 수준에서 벗어나 감귤 등 농산물 보내기사업을 비롯해 농수축과 관련한 선진 기술 또는 시설을 지원하는 등 지자체 차원에서 우선 실현 가능한 사업을 선정, 하나하나 추진해나가기 바란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