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대 대선을 치르면서 코로나 감염증 대확산이 준 사전투표 혼란은 우리에게 값진 선거 교훈이었다. 2020년 총선과 2021년 4·7 재·보궐 선거 때에도 선거 관리를 같은 방식을 사용했지만, 이번 선거에서는 상황이 달랐다. 연일 20만 명 이상이 쏟아지는 코로나 확진 상황에서 발생한 예비투표소의 대혼란은 해외에 수출 경험도 있는 우리의 선거 시스템에 대한 신뢰와 국가 위신에도 추락을 가져왔다. 부끄러운 일이다.
3년 차 접어든 코로나 상황은 질병관리청에서 날마다 확진자 정보와 현황을 발표하고 유의사항을 국민에게 알리고 있다. 초기에는 확진자가 발생한 동선도 파악하고 지역보건소에서 문자를 보내는 등 정부의 노력은 상당했다. 확진자와 격리자의 주소와 현황 등 세부 정보가 국가 전산망을 통해 관리되고 있음은 우리 국민 누구나 알고 있는 사실이다. 
지난 2월 초 국회 행정안전위원회의 여야 의원들이 코로나 대확산 상황이 투표에 미칠 영향을 우려했으나 선거관리위원회 사무총장은 “수치적으로 정밀하게 해 봤다”고 하니 국민은 안심했는데... 사전투표 혼란을 돌아보면, 사전 투표소 3552개는 정해져 있고 코로나 확진자와 격리자의 투표시간도 오후 6시부터 7시 반으로 정해졌다. 또한, 코로나 확진자와 격리자는 지역별로 매일 매일 발표되고 있어 지역별·투표소별 투표 가능 인원은 어렵지 않게 산출할 수 있었을 것이다. 
또, 질병관리청의 지역별 확진자와 격리자 현황정보, 행정안전부는 이들의 세부 정보, 국토교통부도 GIS(지리정보시스템) 정보 등을 보유하고 있었지만, 부처 간 업무 공조와 자료정보를 상호 공유하지 못함으로 생긴 혼란이라고 볼 수 있다. 6월 1일 지방선거가 곧 다가온다. 광역단체장, 광역의원, 기초자치단체장, 기초의원, 교육감을 선출하는 선거다. 투표방법이 훨씬 복잡하고 코로나 감염증 확산세도 잦아들지 않을 것 같다. 6·1 지방선거는 3·9대선 사전투표의 아픈 교훈을 잊지 말고 만반의 준비가 돼야 한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