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승준-Worcester Academy 12학년

내 부모님의 고향은 한반도 최남단 제주도이다. 제주도에는 할머니와 할아버지가 살고 계신다. 제주는 해녀가 유명하다. 할머니의 어머니도 해녀였고, 외할머니도 해녀였다고 한다. 어릴 때는 해녀에 별 관심이 없었다. 그런데 유학생활을 통해 우리나라를 객관적으로 바라보면서 우리나라에만, 그것도 제주에만 있는 해녀에 대해 새로운 눈으로 바라보게 됐다.
해녀를 가까이에서 본 것은 여름방학 당시 바다에 갔을 때이다. 밀려온 해양쓰레기를 줍다가 해녀들이 일하는 것을 보았다. 동그랗고 자그마한 테왁에 몸을 의지해 숨을 내쉬곤 곧바로 다시 바다에 뛰어드는 모습은 신기하기 짝이 없었다. 코로나19로 재택수업을 하게 되어 제주에 머무는 시간이 길어졌고, 해녀들을 자주 보게 되면서 바다 쓰레기 줍는 일에 작은 사명감마저 느끼게 됐다.
기후변화로 인한 환경문제는 우리 청소년 세대에겐 가장 중요한 이슈이다. 나는 해녀들이 입던 고무옷을 업싸이클링 하는 일에 착수, 관련 홈페이지를 만들기 시작했다.
할머니는 나의 제주해녀에 대한 관심을 대단히 반가워하시면서 나에게 해녀들을 만날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 주셨다. 
해녀들을 만나기 위해선 새벽에 일어나야 했다. 60년 넘게 물질을 했다는 해녀를 내 눈으로 보는 것은 정말 멋진 경험이었다. 우리 할머니보다 나이가 훨씬 많으신데도 씩씩하고 건강해 보였다. 그분들이 물질 나가기 전, 짧은 만남이었지만 그분들은 내게 해녀에 관해 여러 가지를 알려주시려고 애쓰셨다. 해녀협회의 부탁으로 해녀 관련 자료를 영어로 번역한 책이 있는데, 거기서 얻을 수 없는 살아있는 경험담이었다.
집으로 돌아오면서 제주 해녀의 위대함과 아름다움을 세계의 청소년들과 나누고 싶다는 마음이 들었다.
그 위대함은 수십년간 깊은 물속에서 일하느라 직업병을 앓으면서도 그저 베풀어주는 바다에 감사하는 겸손이다. 그 아름다움을 산소통 없이 자신의 숨 길이 만큼만 해산물을 채취하는 절제력이다. 이는 경쟁과 욕심에 치우치기 쉬운 오늘날의 청소년들에게 좋은 가르침이 된다. 제주해녀의 숫자가 점점 줄어들어 가는데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선정된 것에는 이런 정신을 인류가 이어가야 한다는 메시지가 들어있다. 


세계의 청소년들과 나눌 첫 번째 해녀 이야기는 ‘숨비소리’이다.


해녀는 얼마나 멀리 그리고 깊이 잠수할 수 있는 지에 따라서 상중하 등급이 있어. 상군이라 불리는 베테랑 해녀는 무려 10m까지 잠수한대.수심 10m부터는 신체가 느끼는 압력이 두배로 늘어 경험이 많은 해녀들만 잠수가 가능하다고 해. 게다가 잠수 후에 수면으로 올라올 때 우리 몸은 상승 속도에 비례하는 압력을 받기 때문에 이런 엄청난 압력을 견딘다는 것은 인간으로서는 감당하기 힘든 일임에 틀림없어. 놀라운 것은 이들이 스킨스쿠버들이 흔히 사용하는 산소통 없이 자연 호흡으로 잠수를 한다는 거야.
이런 게 해녀에게 어떻게 가능한지 궁금하지 않니? 비결은 호흡기술이야. 숨을 참고 수면에 올라오자마자 이산화탄소를 재빨리 모두 내뿜는 기술인데, 우리 귀에는 휘파람 소리와 비슷하면서 아주 긴 소리 ‘호~이~’로 들려. 이 소리를 사람들은 ‘숨비소리’라고 불러.
산소통을 메고 들어가면 더 오래 머물 수 있어 더 많은 해산물을 채취할 수 있는데, 왜 산소통을 쓰지 않을까? 여기에 해녀정신이 있어. 바다를 오염시키는 탄소를 바다속에 내뿜지 않는 정신. 자기의 타고난 능력 이상은 욕심부리지 않는 마음, 나는 해녀들이 바다를 지키는 여신이라고 생각해.
어때? 서양의 동화책에 나오는 인어공주보다 더 아름답고 귀하지 않니?

 

 

My parents are from Jeju Island, just like my grandparents before them. Aside from its scenery Jeju Island is famous for its seadiving women, the Haenyeo. My great grandmother on my father’s side was a Haenyeo, and my grandmother on my mother’s side was also a Haenyeo. I wasn’t particularly interested in the Haenyeo when I was young, but as I started to live overseas, I was able to see my home country with a different perspective, and I found myself looking at South Korea’s unique features. I was particularly interested in the characteristics only Jeju Island could offer and looked at Jeju Island’s Haenyeo culture with a new eye.
I stumbled upon the Haenyeo when I was at the beach for summer vacation. I was doing volunteer work and picking up washed up trash when I saw them diving. Depending on a small and round Taewak when they breached the surface of the water to breathe, they soon dived back in and that image was mesmerizing. During the Covid19 years, as online lessons became the new norm, I was spending more time on Jeju Island and seeing the Haenyeo work while I continued picking up trash became more common. Indeed, I felt a sense of duty to pick up the trash so the Haenyeo could focus on their occupation.
The climate crisis is an environmental concern to our generation, and I would indirectly interact more with Haenyeo when I was upcycling their wet suits and making a website dedicated to the Haenyeo. My grandmother was happy when I became interested in the Haenyeo, and helped me meet the faces behind their culture. To see them, I had to wake up at dawn, and seeing these professionals who have been doing mooljil (working in the water) for sixty years was an unforgettable experience. They were older than my grandmother but appeared to be younger at the same time. During their short time on land they helped explain to me the history and diving techniques of the Haenyeo. With the help of the Haenyeo committee, I was able to obtain academic resources relate to the Haenyeo and had the invaluable experience of translating these writings into English.
I wish to share my experience and the great and beautiful history of the Haenyeo with my fellow students. The Haenyeos’ decade’s worth of experience working with the fickle sea can be seen in their injuries and their modesty. They fight against nature without the aid of air tanks and discipline themselves by only taking from the sea as much as their lungs could afford. This way of life can be a lesson to today’s students who are moved by competition and greed. That they were labeled as a part of Unesco’s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even though their practicing numbers are shrinking, is a testament to the message they embody in regards to the future of mankind.
The first episode of the Haenyeo I wish to share with my global colleagues is their breathing technique, the soombisori. 

The ranks of the Haenyeo are divided by how deep they can dive. The Sang-goon are the veterans, and they can dive up to 10 meters below the sea level. It is at this point the body feels double the water pressure, so only Haenyeo with experience can reach this point. Additionally, as they come back to the surface, their bodies are once again subject to a change in pressure relative to their rising speed, and this change is taxing to the human body. That they do this feat without a gas tank and with only their natural lung capacity is extraordinary.
     So how does this happen? The secret is their breathing techniques. They have a method by which they expel all the pent up carbon dioxide immediately when they break the water surface. In this process they make a whistling sound “Ho-I”. This whistling sound is known as soombisori.
They can certainly spend more time underwater with a gas tank, and can also obtain more sea resources in the process, but why do they not? They believe that air and carbon should not be brought underwater, and that their physical capacities are the limiting factor for their greedless activities. I think this mindset makes them the goddess protectors of the sea.
So, how do they compare to the mermaids of other cultures?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