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시행 기업 최대 70% 차지…소규모·가족친화 미인증 많아
제주여성가족연구원, 조례 도입·사전지원 등 정책방안 제시

제주지역 기업들은 일·생활 균형 지원제도의 인지도가 낮으며 인력 운영 및 관리가 제도 운영에 가장 큰 어려움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여성가족연구원(원장 민무숙)은 31일 ‘제주지역 기업의 일·생활 균형 실태와 활성화 방안’ 연구보고서를 발간했다.

연구원은 이번 연구를 위해 도내 447개 기업을 대상으로 일·생활 균형 지원 기반 및 직장문화, 지원 제도 도입 및 활용 실태, 운영 경험, 정책 수요 등을 설문조사했다.

연구 결과 법률에 근거한 일·생활 균형 지원 제도 중 출산 관련은 출산전후휴가와 배우자 출산휴가, 육아휴직을 제외한 난임치료휴가나 유사산휴가, 태아검진 시간의 허용 등은 ‘대략 알고 있음’과 ‘잘 알고 있음’이 40% 전후에 머물렀다.

근로시간 조절에 대해서도 임신기나 육아기, 선택적 근로시간제 등에 대해 ‘대략 알고 있음’ 이상의 답변자는 절반을 넘지 못했다. 이를 반영하듯 지원 제도가 없는 경우가 적게는 40%에서 많게는 약 70%까지 나왔다.

연구원은 분석 결과 “도·소매·숙박·음직점업, 근로자 5인 미만, 가족친화인증을 받지 않은 기업에서 일·생활 균형 지원 정도가 낮았다”고 밝혔다. ‘우리 회사는 일·생활 균형 문화 조성을 위한 예산, 시간, 인력 등의 할당이 충분한지’ 물었을 때 생산자서비스업이 5점 만점에 3.23점으로 가장 높았다. 도·소매·숙박·음직점업은 2.61점으로 가장 낮았다.

근로자 규모로는 10인 이상 기업은 3.12점인데 반해 5인 미만 기업은 2.55점을 받았다. 가족친화인증 기업은 3.67점을 받았지만 비인증기업은 2.80점을 받았다.

기업이 관련 제도 운영 시 가장 큰 어려움으로는 ‘인력 운영 및 관리(41.8%)’가 꼽혔다. ‘직무 특성상 반영이 어려움(21.5%)’과 ‘비용부담(17.9%)’이 뒤를 이었다.

이 때문에 기업에서 근로자가 출산전후휴가 사용 시 업무방식은 ‘남은 인력끼리 나눠서 해결’하는 경우가 25.5%로 가장 많았다. 이는 육아휴직 사용 시에도 21.5%로 가장 많았다.

기업은 이를 해소하기 위해 가장 필요한 지원정책으로는 ‘육아휴직 등 대체인력 채용 및 인건비 지원 강화(5점 만점 중 3.89점)’를 선택했다. ‘정시퇴근 문화 조성’은 3.85점, ‘육아휴직 사용 활성화’는 3.84점 등으로 나타났다.

연구원은 이에 근거해 관련 조례(안) 마련, 제주형 가족친화인증기업을 위한 사전지원 및 인센티브 강화, 대체인력 지원 등의 정책방안을 제시했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