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태환 지사가 공약사업에 대한 구체적인 실천계획을 마련했다. 도민으로부터 객관적인 평가를 받기 위해 ‘공약 도민 평가단’을 구성, 1년에 두 번 종합적인 평가를 받겠다는 것이다.
선거시 발표되는 공약의 사회적 의의는 다양하다. 공약은 주어진 시간내에 그 사회가 이룩해야 할 정칟경제·사회·문화의 발전 방향을 집약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선거 공약은 선거 때만 필요한 것이 아니라, 선거 후에도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그것이 바로 사회발전 방향을 집약적으로 표현한 것이라는 점에서 당선자에 따라 곧 지역사회 개발의 지표가 되기도 한다.

우리가 지난 지방선거시 기를 쓰고 공약의 실현성 검증을 주장했던 이유도 여기에 있다. 실천할 의지와 능력이 없으면서도 장미빛 단어를 동원하여 주민을 현혹하는 것은 주민을 기만하는 행위일 뿐 아니라, 더 나아가 지역사회의 발전 방향을 혼란스럽게 하는 행위이기 때문이다.

공약이 제대로 실현되는지 지켜봐야 한다. 지난 지방선거때 공약의 현실 적합성을 검증한 것 못지않게 공약이 어떻게 실현되고 있으며, 그것이 지역사회에 어떤 영향을 주고 있는지 예의 주시해야 한다.

어련히 알아서 하겠지만, 차제에 공약의 실현을 위해 각계의 힘을 모으는 작업도 함께 이뤄졌으면 한다. 선거 유세과정에서 큰소리쳤지만, 이미 발표한 공약 중에는 혼자의 힘으로 이룰 수 없는 것이 많다. 모두가 다 그런 것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중앙의 지원과 모두의 힘이 필요한 것은 모두의 의견을 모으는 지혜를 발휘해야 한다.

그러나 가장 중요한 것은 김 지사가 선거과정에서 강조했듯, 공약을 실천하기 위해 ‘성실한 일꾼’이 되는 것이다. 말과 행동에 다름이 없어야 한다. 김 지사의 앞으로의 행정의 공과는 모두가 여기에 달려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