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ix party head of delegation talks in Beijing came to an end after four days of meetings in which negotiators failed to adopt a verification protocol on North Korea’s nuclear programs. This is disappointing, even considering the situation created by the change of administrations in the United States. The talks are going to be at a stalemate for the time being.

  It is North Korea that has the most responsibility to bear for the fact the talks produced no results. Its delegation repeatedly said that it could not accept the collection of samples, saying that would be exposing its nuclear capabilities in a situation in which there is no trust, all the while also claiming the issue is one of “sovereignty” and “national security.” Its attitude make no sense. Verification is all about determining what the North’s nuclear capabilities are, and agreeing on a more developed verification plan would build a lot more confidence. If, on the other hand, the North continues to do what it did this time, which was to act as if it still has something to hide about its nuclear capabilities, that is not going to allow for the confidence essential to making progress at the six-party talks.

  It appears to be thinking that it should hold on to the verification issue as a card to play against the incoming administration of U.S. President-elect Barack Obama. There is, of course, some possibility that aspects of Pyongyang’s relationship with Washington could change when Obama is inaugurated, since he has pledged to have “package negotiations” and direct, high-level talks. But there is clearly going to be no resolution to the matter of verification without agreement on sample collection, no matter what the situation. If the North wants more meaningful dialogue with the Obama administration, the best thing for it to do would be to be favourably receptive to the adoption of a verification protocol, and now would not be too late.

    South Korea deserves criticism for its behavior. Our delegation gave up being the “creative mediator” it had been previously and froze up the mood at the talks by making its strategy one of being high-handed with the Northerners. A fine example of this would be when Seoul’s top delegate to the talks, Kim Sook, openly said the South is going to link the adoption of a verification protocol to energy and economic aid. Seoul needs to be more proactive than anyone about resolving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but it has come down to South Korea being called a bystander and an obstructionist at the talks, just like Japan.

  The countries party to the six-party talks are now in a position in which they have to find a way to inject new momentum into the process. For starters, disablement and aid need to proceed without any hitches, so as to bring closure to the second phase of the process. Talk in some quarters about reconsidering aid will only exacerbate the situation. At the same time, we need to find ways to approach the next phase, including verification and then denuclearization, in an effective manner. One way to do that would be for the Seoul government to change its hard-line North Korea policies in a way that promotes smooth going for inter-Korean relations and the six-party talks.

새 동력 요구되는 6자 회담

  중국 베이징에서 열린 6자 수석대표 회담이 북한 핵 검증의정서 채택에 실패하고 그제 나흘 일정을 마쳤다. 미국의 정권이 바뀌는 과도기적 상황임을 고려하더라도 실망스럽다. 당분간 회담 교착은 피할 수 없게 됐다.

  회담이 성과를 내지 못한 가장 큰 책임은 북한에 있다. 북한은 핵심 쟁점인 핵시료 채취에 대해, 신뢰가 없는 상태에서 자신의 핵능력을 노출하는 것이므로 받아들일 수 없다는 말을 되풀이했다. 그러면서 이는 ‘주권적 및 국가안보 차원’의 문제라고 주장했다. 이런 북쪽 태도는 억지스럽다. 검증의 주된 목적이 바로 핵능력 파악에 있으며, 진전된 검증 방안 합의를 통해 신뢰가 크게 증진될 수 있기 때문이다. 반면 이번처럼 북한이 핵능력과 관련해 뭔가 계속 숨기려는 듯한 모습을 보이는 한 회담 진전에 필수적인 신뢰는 만들어지지 않는다.

  북한은 내년 초 출범할 버락 오바마 미국 행정부와의 협상에 대비해 검증방안 문제를 카드로 남겨두려고 생각하는 듯하다. 물론 북한의 기대대로, 포괄적 협상과 고위급 직접대화를 공언해 온 오바마 행정부가 들어서면 북-미 관계의 양상이 바뀔 가능성이 적잖다. 하지만, 어떤 상황이든 시료 채취에 대한 합의 없이 검증 문제가 풀릴 수 없다는 사실은 분명하다. 따라서 북한이 오바마 행정부와 한 차원 높은 대화를 하기 바란다면 지금이라도 검증의정서 채택에 호응하는 것이 최선이다.

  우리나라가 보인 모습도 비판받아 마땅하다. 우리 대표단은 이전과 같은 ‘창조적 중재자’ 구실을 포기하고 대북 압박에 치중해 회담 분위기를 경색시켰다. 김숙 수석대표가 검증의정서 채택과 대북 경제·에너지 지원을 연계하겠다고 공개적으로 밝힌 것이 대표적 사례다. 핵문제 해결에 가장 적극적이어야 할 우리나라가 일본처럼 방관자 또는 방해자가 됐다는 말이 나올 정도다.

  참가국들은 이제 회담의 새 동력을 확보해야 하는 부담을 안게 됐다. 우선 핵 불능화와 대북 경제·에너지 지원을 차질 없이 진행시켜 2단계를 잘 마무리해야 한다. 일부에서 거론하는 대북 지원 재검토는 상황을 악화시킬 뿐이다. 그러면서 핵 검증을 포함해 다음 핵 폐기 단계 과제에 효과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 정부가 강경기조 대북정책을 바꿔 남북관계와 6자 회담 진전의 선순환 구조를 만드는 것이 그 가운데 하나다.

[한겨레 사설 12/12]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