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 only have income disparities between classes grown to their highest level this year, but the number of absolute poverty has skyrocketed as well. This is partly due to the effect of the economic slow down from the global financial crisis, but it is also largely the fault of the Lee Myung-bak administration’s policies that are aggravating income inequality. The time has come for the government to work to reduce income inequality through a fundamental policy change before any more time passes.

According to data from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the top 10 percent of urban working families made over 10 million Won in the first quarter, while the bottom 10 percent made a tenth of that (959,000 Won). The decline in the incomes of poor people is more serious. According to a report by the Korea Development Institute, the numbers of absolute poor that are unable to earn even the minimum cost of living increased to 17.6 percent of total families nationwide. This means that one in six families is living hand-to-mouth on not even the basic cost of living (1.326 million Won a month for a family of four). In particular, the rate of increase for the income of the poor is lower than that of the non-poor, meaning that if things continue as they are, the rate of poverty will also grow.


It is true that the recent economic slowdown ha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widening income gap between social classes and on the growth in the numbers of absolute poor. The level of income inequality generally gets slightly better when the economy is good and worsens when the economy is slow. During the 1997 foreign exchange crisis, too, income inequality grew worse and then improved when the economy recovered. One cannot deny that the recent worsening of the income distribution, too, is influenced by the domestic economic turndown owing to the global financial crisis.


The Lee Myung-bak administration’s “pro-business, pro-wealthy” policies, however, are making income inequality even worse and increasing the number of absolute poor. As soon as the administration took over, they safeguarded the incomes of high-earners hurt by the economic slowdown by rendering powerless the comprehensive real estate tax and slashing the capital gains tax. On the other hand, the government virtually ignored that fact the poor were loosing their jobs and their livelihoods were collapsing, saying that nothing could be done in accordance with the logic of the market.

 

In order to lessen the income gap and reduce the number of poor, there is no other way but to strengthen income redistribution policies. Leaving things to market logic will only make the situation worse. The first steps include eliminating tax-reduction policies for the wealthy, including the relaxation of the real estate tax, and expanding the social safety net for the poor while providing policy support so that the base of living for the poor, self-employed and others does not collapse. The government should keep in mind that if economic polarization and the number of absolute poor continue to increase at the same current rate, the government will find it hard to maintain power in a divided society.

빈곤층 증가 이대로 방치해선 안 돼

올해 들어 계층간 소득격차가 사상 최대로 벌어졌을 뿐 아니라 빈곤층도 늘어나고 있다. 이는 세계 금융위기에 따른 경기침체의 영향을 받은 측면도 있지만 소득불평등을 악화시키는 이명박 정부의 정책 탓이 크다. 더 늦기 전에 정책 기조를 바꿔 소득불평등 완화에 온 힘을 기울여야 할 때다.

통계청 자료를 보면, 올해 1분기 도시근로자가구 소득 상위 10% 계층의 월평균 소득이 처음으로 1000만원을 넘어서면서 하위 10% 소득(95만9338원)의 10배를 웃돌았다. 빈곤층 증가는 더 심각하다. 한국개발연구원(KDI) 보고서를 보면, 소득이 최저생계비에도 못 미치는 절대빈곤층이 올 1분기에 전국 가구의 17.6%로 늘었다. 6가구 중 1가구가 빈곤선 이하의 소득으로 겨우 입에 풀칠이나 하며 살고 있는 셈이다. 특히 빈곤층의 소득 증가율이 비빈곤층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나, 이대로 가다간 빈곤층이 더 늘어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이렇게 계층간 소득격차가 벌어지고 빈곤층이 늘어난 데는 최근의 경기침체가 적잖은 영향을 끼친 것이 사실이다. 소득불평등 정도는 대체로 경기가 호조를 보일 때는 조금 완화되지만 경기가 침체하면 악화한다. 외환위기 때도 소득불평등이 심화했다가 경기가 회복되면서 조금 개선됐다. 최근의 소득불평등 심화도 세계 금융위기로 말미암은 국내 경기침체의 영향을 받았음을 부인하기 어렵다.

하지만 이명박 정부의 ‘친기업 친부자’ 정책이 소득불평등을 더욱 악화시키고 빈곤층을 늘리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이 정부는 출범하자마자 종합부동산세 무력화, 양도소득세 완화 등을 통해 경기침체로 인한 고소득층의 소득 감소를 보전해줬다. 반면 서민들이 일자리를 잃고 생계 기반이 허물어지는데도 정부는 시장논리에 따라 어쩔 수 없다며 사실상 방치해 왔다. 그 결과는 지금 보는 그대로다.

소득격차를 완화하고 빈곤층을 줄이려면 소득재분배 정책을 강화하는 방법밖에 없다. 시장논리에 맡겨선 상황만 악화시킬 뿐이다. 종부세 완화 등 고소득층에 대한 감세 정책을 철회하고, 빈곤계층에 대한 사회안전망을 확충하는 한편 영세 자영업자 등의 생계 기반이 허물어지지 않도록 정책적 지원을 하는 게 그 첫걸음이다. 지금 같은 속도로 양극화가 심해지고 빈곤층이 늘어나면 사회 통합은커녕 정권 유지도 힘들게 된다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

[한겨레사설 7/13]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