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wenty years ago today, we witnessed the collapse of the Berlin Wall, a symbol of Cold War division between East and West Germany. Following that historic night when the people of East Germany swept up in their desire for freedom began dismantling the wall that had divided the world, the global village underwent a dramatic transformation. Germany was unified and the Soviet Union disintegrated. A Cold War order that had prevailed for close to a half century disappeared into the mists of history. With it ended countless third world civil wars that it had produced, while Europe, previously partitioned into East and West, began to come together under the unified banner of the European Union. Ever since, Germany has gone about healing the wounds left behind by division and has gradually become a unified state.

Today, German Chancellor Angela Merkel and other leaders of the world’s major nations are meeting in Berlin to commemorate that historic day. They wish to celebrate the unification of a divided Germany, the integration of a fragmented Europe, and the greater freedom enjoyed by a greater number of people. This is, of course, an event worthy of celebration. It is even something to envy for the people of the Korean Peninsula, who have not yet cleared away the vestiges of the Cold War and remain in a divided state.

However, when we consider the dream that disappeared without a trace 20 years ago for the people of the world hungering for a new world based in peace and prosperity, the day cannot only be about celebration.

War continues on in Iraq and Afghanistan, and nuclear weapons development programs continue in India, Pakistan and North Korea. The market fundamentalism that swept over the world in the name of globalization has greatly widened the gap between rich and poor and ultimately brought about a global economic crisis. It is reality that has cast a pall on the boasting of U.S. political scientist Francis Fukuyama, who proclaimed liberal democracy the final victor in the competition of political ideas against communism.

The leaders of the world’s nations must now present a new answer, and the greatest responsibility for this lies with the U.S., which ascended to the status of the world’s only superpower following the self-destruction of the Soviet Union. The U.S. is the country that brought about the current crisis by tolerating the reckless race of capital rather than taking the fall of Communism as an occasion for reflecting on the system and ideology it was promoting.

There is a lesson to be learned from the past two decades for North Korea and South Korea as well, two countries that must resolve what remains of the Cold War. In particular, Germany serves as a model European nation despite the large costs spent for unification. This is a road we must take as well. To do so, we must not miss the new window that is opening up for dialogue. We must seek out a new plan for reconciliation and unification, based in reflection upon our own systems.

베를린장벽 붕괴 스무 돌과 한반도

20년 전 오늘, 동서냉전의 상징이던 베를린 장벽이 붕괴됐다. 자유를 향한 열망에 휩싸인 동독인들이 세계를 양분해온 장벽을 부수기 시작한 그 역사적인 밤 이후 지구촌은 극적으로 변화했다. 독일이 통일됐고, 소련이 해체됐다. 반세기 가까이 지속돼온 냉전체제 역시 역사의 뒤안으로 사라졌다. 냉전체제의 산물이었던 제3세계의 수많은 내전들이 끝났고, 동서로 양분됐던 유럽은 유럽연합이란 단일 기치 아래 통합돼가고 있다. 통일 독일은 분단이 남긴 상처를 극복해 가며 점차 완전한 통일국가를 향해 나아가고 있다.


앙겔라 메르켈 독일 총리와 세계 주요국 지도자들은 오늘 베를린에서 그 역사적인 날을 기념한다. 분열됐던 독일이 통일되고 분열됐던 유럽이 통합된 것을, 그리고 좀더 많은 이들이 좀더 많은 자유를 누리게 된 것을 축하하기 위해서다. 물론 축하할 일이다. 특히 아직도 냉전의 잔재를 청산하지 못한 채 분단 상태로 남아 있는 한반도의 주민들로서는 부럽기까지 하다.


그러나 20년 전, 평화와 공존에 바탕한 새로운 질서를 갈망했던 세계시민들의 꿈이 가뭇없이 사라진 것을 생각하면 단순히 축하만으로 끝날 일은 아니다. 이라크와 아프가니스탄에서는 아직도 전쟁이 지속되고, 인도·파키스탄·북한 등의 핵무기 개발로 핵 위협은 오히려 더 커졌다. 세계화란 이름으로 전세계를 휩쓴 시장근본주의는 빈부 격차를 한없이 벌려놨고, 종국에는 전세계적 경제위기를 불러왔다.


공산주의와의 이념 경쟁에서 승리한 자유민주주의야말로 인류 정치형태의 마지막 종착지라던 미국 정치학자 프랜시스 후쿠야마의 호언을 무색하게 만든 이런 현실 앞에 세계 지도자들은 새로운 답을 내놓아야 한다. 그 가장 큰 책임은 소련의 자멸로 세계 유일 초강국에 등극한 미국에 있다. 공산주의 몰락을 스스로의 체제와 이념을 되돌아보는 계기로 삼는 대신 자본의 무분별한 질주를 용인해 현재의 위기를 부른 탓이다.


냉전의 마지막 유산을 걷어내야 할 한반도의 남과 북 역시 지난 20년 역사에서 교훈을 얻어야 한다. 특히 통일 독일은 값비싼 통일비용을 치렀음에도 유럽의 모범국으로 평가받고 있다. 우리 역시 그 길을 가야 한다. 그러려면 새롭게 열리는 대화 국면을 놓치지 말고, 각각의 체제에 대한 반성적 접근에 바탕한 새로운 화해와 통일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한겨레 사설 11/9]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