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t a press conference following his summit meeting with President Lee Myung-bak yesterday, U.S. President Barack Obama said he plans to send Stephen Bosworth, U.S. special representative for North Korea Policy, to North Korea on Dec. 8 to begin bilateral talks with North Korea. The phase of sanctions, which took shape as North Korea launched a satellite and conducted a nuclear test in April and May, is now entering a full-scale phase of negotiations as the two key nations talk directly to resolve the nuclear issue. We expect that with substantive and productive talks between the two sides, North Korea will quickly be able to return to the six-party talks.


That Obama announced Bosworth’s visit to North Korea in Seoul, the last stop on his Asia tour, is a courtesy to the Lee Myung-bak administration, which has not spoken positively about dialogue. It is also a statement that stresses the reality that dialogue is the only choice. Although Obama did not use the phrase “Grand Bargain,” as proposed by Lee, even once, he said the two countries shared the same approach to North Korea. Observers say that this could also be seen as a peck on the cheek for Lee. Since the U.S. will be engaging in North Korea-U.S. dialogue, Obama must have wanted to hush up differences with Seoul and send an active message to Pyongyang.

The start of North Korea-U.S. dialogue is likely to have a serial effect on China-North Korea talks, which are already taking place, North Korea-Japan dialogue and the six-party talks. That Obama’s announcement today came after prior fine-tuning with Japan and China, his previous destinations, lends even more support to this. There are even reports that Japanese Prime Minister Hatoyama Yukio is pushing to visit North Korea next month. As a result, there is concern that the Lee administration, has maintained a consistent hard-line North Korea policy stuck in calls for North Korea to first give up nuclear weapons before there is dialogue, will just stamp its feet as it watches over the shoulders of North Korea-U.S. and North Korea-Japan dialogue, just as it did during the Kim Young-sam administration.

The Lee administration must realize that without improvements in the inter-Korean relationship, South Korea has no room to involve itself in Korean Peninsula issues, and actively switch directions. It should also cleanly abandon the Grand Bargain, which is not gaining the official support of the U.S. and China, which are leading the dialogue phase over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and merely gives the impression that South Korea is demanding that North Korea first abandon its nuclear program.

With the early ratification of the South Korea-U.S. Free Trade Agreement (KORUS FTA), the issue the South Korean government worked on the hardest during this summit, it seems the Lee administration went out for wool and came home shorn. When Obama hinted at the auto market issue, saying that there is a huge trade imbalance that the U.S. is concerned about, Lee responded by saying that if there is a problem in auto trade, South Korea is ready to talk again. Observers say this could be a virtual declaration that South Korea is willing to renegotiate the auto trade classes. If this is so, we cannot understand why there was a huge commotion to pass the ratification bill in the last National Assembly. We feel despair at the attitude of the Lee administration, which is being myopic, whether it is on the North Korea nuclear issue or the KORUS FTA.

정부는 북-미 대화를 지켜보고만 있을 텐가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이 어제 한-미 정상회담 뒤 열린 기자회견에서, 스티븐 보즈워스 대북정책 특별대표를 다음달 8일 북한으로 보내 양자 대화를 시작할 것이라고 밝혔다. 올봄 북한의 장거리 로켓 발사와 핵실험으로 형성된 제재 국면을 본격 협상 국면으로 전환시키겠다는 의지의 표현이다. 북-미 사이에 실질적이고 생산적인 대화가 이뤄져, 북한이 하루빨리 6자회담에 복귀하고 핵 문제에서 진전을 이루길 기대한다.


오바마 대통령이 서울에서 보즈워스 대표의 방북 사실을 발표한 것은 대화 노선에 소극적인 이명박 정부를 배려하면서도 대화로 갈 수밖에 없는 현실을 강조하려는 의도였을 것이다. 오바마 대통령이 ‘그랜드 바겐’이란 용어를 한 번도 쓰지 않으면서 ‘두 나라 간 대북 접근 방식이 일치한다’고 말한 것도 우리 정부를 다독이기 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미국으로선 대북 대화에 나서기로 한 이상 우리 정부와의 이견은 잠재우고 북한 쪽엔 일정한 메시지를 보내고 싶었을 것이다.


북-미 대화 시작은 이미 활발하게 전개되는 북-중 대화에 이어 북-일 대화와 6자회담 재개라는 연쇄 효과를 낳을 가능성이 크다. 오바마 대통령의 이날 발표가 이전 순방국인 일본·중국과 사전 조율을 거쳐 나온 것이라는 점에서 더 그렇다. 하토야마 유키오 일본 총리가 다음달에 북한 방문을 추진하고 있다는 보도도 나온다. 곧 한반도 관련 사안을 다루는 대화가 동시다발적으로 이뤄질 상황인 것이다.


걱정스러운 것은 ‘선핵폐기론’에 갇혀 대북 강경책으로 일관하는 우리 정부의 태도다. 과거 김영삼 정권 때처럼 북-미, 북-일 대화 등을 어깨너머로 쳐다보며 발만 구르게 될 가능성마저 있다. 정부는 이제라도 남북관계의 개선 없이는 한반도 문제 논의에 우리가 끼어들 여지가 협소하다는 점을 인식하고 방향 전환을 꾀해야 한다. 그랜드 바겐이라는 용어에 대한 집착도 버리는 것이 옳다. 대화 국면을 주도하는 미국과 중국의 공식 지지를 얻지 못하는 것은 물론 앞으로도 실질적 내용은 없이 관련국 사이의 논의만 더 복잡하게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정부가 이번 정상회담에서 가장 공을 들인 한-미 자유무역협정 조기 비준은 오히려 혹을 떼려다 혹을 붙인 꼴이 됐다. 오바마 대통령이 “미국이 우려하는 부분은 엄청난 무역 불균형”이라며 자동차 시장 개방 문제를 내비치자, 이 대통령은 “자동차 문제가 있다면 다시 이야기를 할 자세가 돼 있다”고 했다. 사실상 자동차 문제를 재협상하겠다는 발언이다. 그렇다면, 지난번 국회에서 왜 그렇게 비준안을 통과시키려고 했는지 이해할 수 없다. 정부는 북한 핵 문제든 한-미 자유무역협정이든 한 치 앞을 내다보지 못하고 있는 듯하다.

[한겨레사설 11/19]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