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ephen Bosworth, U.S. special representative for North Korea policy, visits North Korea today as a special envoy of U.S. President Barack Obama. This marks 10 months since the launch of the Obama administration, and four months since former U.S. President Bill Clinton visited North Korea. Since sufficient time has passed for preparations for this dialogue, we are hoping for positive results.

The U.S. and South Korean governments say the agenda for the talks is to press for resuming six-party talks and ensure the execution of the September 19, 2005 Joint Statement of the Fourth Round of the Six-Party Talks. They have also drawn a line, saying this is not a “bilateral negotiation” as demanded by North Korea. This claim is in some ways reasonable for if the U.S. and North Korea were to conduct give-and-take negotiations when North Korea has not clearly expressed its intention to return to the six-party talks, it could obscure the future of the six-party talks and the North Korea nuclear issue as a whole.


This discussion, however, should not end simply with the U.S. conveying its own position and demands. The primary reason why the six-party talks have repeatedly stalled up until now is that the two sides’ demands and intentions to realize agreements differ, and behind that is deep-seeded mistrust. It would be difficult to hope for smooth progress even if the six-party talks were restart if basic trust cannot be secured at this time. Accordingly, building trust must be one of the main goals of this dialogue.


More than anything, Bosworth must convincingly present North Korea with what it could hope to gain. Even if actual talks do not resume until later, only when the two sides are able to create a consensus about the big picture will the decision be likely that North Korea will return to the six-party talks. In addition, in regards to the related issues of signing a peace treaty and building a peace regime on the Korean Peninsula as discussed recently by North Korea, we hope that these are not aimlessly delayed as some future task. Indeed, we hope instead that the U.S. presents its concept and draws in North Korea’s agreement.

North Korea must know that now is the right time to return to the six-party talks. Ever since President Obama has pledged a “world without nuclear weapons,” the will of participating nations to denuclearize is higher than ever. The Obama administration is also more open to negotiations on the North Korea nuclear issue than any previous U.S. administration. Moreover, the international community will be watching what attitude North Korea adopts and deciding whether to continue with sanctions.

Some quarters are predicting that following this dialogue the two sides will meet one more time and will raise the level of the bilateral talks. Even if there ends up being such a need, the two sides must use this time to conduct conversations sufficient enough to draw out a framework. Also, relevant nations, of course, including ours, must actively cooperate to ensure that the two countries’ dialogue is productive.

시작된 북-미 대화, 신뢰 구축이 중요하다

스티븐 보즈워스 미국 대북정책 특별대표가 버락 오바마 대통령의 특사 자격으로 오늘 북한을 방문한다. 오바마 정권이 출범한 지 10개월 반, 빌 클린턴 전 대통령이 방북한 지 4개월여 만이다. 상당 기간 뜸을 들인 공식 대화 자리인 만큼 좋은 성과를 내길 기대한다.

미국과 한국 정부는 이번 대화의 의제가 ‘6자회담 재개와 북한의 9·19공동성명 이행 촉구’라고 말한다. 북한이 요구해온 ‘양자협상’이 아니라고 선을 그은 것이다. 이런 입장은 타당한 측면이 있다. 북한이 여전히 6자회담 복귀 뜻을 분명히 하지 않은 상태에서 미국과 북한이 주고받기식 협상을 벌여서는 6자회담은 물론 핵문제 전체의 앞날이 불투명해질 수 있다.

하지만 이번 대화가 단지 미국의 입장을 전달하는 자리에 그쳐서는 안 된다. 이제까지 6자회담이 정체를 거듭해온 주된 이유는 서로의 요구와 실천 의지가 달랐던 데 있고, 그 배후에는 뿌리 깊은 불신이 있었다. 지금도 기본적인 신뢰가 확보되지 않는다면 회담이 재개돼도 순조로운 진전을 기대하긴 어렵다. 따라서 신뢰 구축은 이번 대화의 가장 큰 목표 가운데 하나가 돼야 한다.

무엇보다 보즈워스 대표는 북한이 얻을 수 있는 것들을 설득력 있게 제시해야 한다. 실제 협상은 나중에 이뤄지더라도 큰 틀에 대한 공감대가 만들어져야 북한이 쉽게 6자회담 복귀 결정을 내릴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해 최근 북한 쪽이 밝힌 평화협정 체결 또는 평화체제 구축 문제도 무작정 이후 과제로 미룰 게 아니라 미국의 구상을 제시하고 동의를 끌어내길 바란다.

북한은 지금이 6자회담에 복귀할 적기임을 알아야 한다. 오바마 대통령이 ‘핵 없는 세계’를 공언하는 등 회담 참가국들의 비핵화 의지는 어느 때보다 높다. 오바마 행정부는 과거 어느 미국 정권보다도 대북 핵 협상에 열린 자세를 갖고 있기도 하다. 또한 국제사회는 북한이 어떤 태도를 취하는지를 보고 제재 계속 여부를 저울질할 것이다.

일부에서는 미국과 북한이 이번 대화 이후 급을 높여 한 차례쯤 더 만날 것으로 내다본다. 설령 그럴 필요가 있다고 하더라도 이번에 충분히 깊이있는 논의를 해 틀을 잘 짜야 한다. 우리나라를 비롯한 관련국들도 두 나라의 대화가 잘되도록 적극 협력해야 함은 물론이다.

[한겨레 사설 12/7]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