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day marks the second anniversary of the inauguration of President Lee Myung-bak. Although today marks only two years, it feels as if it has been much longer. So the turbulent times have continued without respite for even a day.

Looking back at the last two years, we ask this. Has our society grown warmer, and have people become drawn closer together? Has trust and respect between social groups grown deeper and have the walls of tension lowered? Have the lives of the common people improved, and the number of downtrodden neighbors become fewer? Have inter-Korean tensions relaxed and has the spirit of inter-Korean reconciliation and cooperation improved? The answer to all of these questions, unfortunately, is no.

Even those who did not support Lee during the election did not differ greatly in their hopes for the new administration two years ago. They believed South Korean society would continue to move forward based on the accomplishments of the previous decade. They considered this to be the flow of history. Moreover, the slogan espoused by the Lee administration was none other than pragmatism. The exact meaning of pragmatism in this case was vague, but we heard pledges that President Lee would not be attached to any particular ideology, party line or cause and run the country flexibly while pursuing practical benefits. These hopes, however, were in vain.

The biggest effort made by the Lee Myung-bak administration over the past two years has been, illogical as it may seem, to erase history. President Lee’s efforts to sever history from the Rho Moo-hyun and Kim Dae-jung administrations have caused a regression even further into the authoritarian past. Opening up an age of new authoritarianism and neo-conservatism outshining the authoritarianism of the past, society has once again backed up into the dark tunnel of the past. The past two years have vividly shown just how weak the basis of our democracy is, built through such a difficult struggle.

Promoting social unity and reducing tensions was one of the most historic tasks for the Lee Myung-bak administration. Instead, the government has, far from mending regional, ideological, class and generational tensions, rubbed salt in wounds and increased tension. As the opposition has been thoroughly excluded and the ruling administration has run things unilaterally, room for reconciliation and communication has disappeared. Inter-Korean relations are also floundering without a sense of direction and in great deal of trouble with a policy line of mixing dialogue and confrontation.

Regardless, the Lee Myung-bak administration does deserve praise for successfully braving the storm of the global financial crisis. As growth without employment becoming a clearer reality, however, the shadow of insufficient employment is looming higher in the distance. Moreover, no one can predict the side effects of the Lee administration’s policies dependent on economic stimulus that were adapted to escape the economic crisis. In conclusion, upon the current administration’s report card are the three major crises outlined by late President Kim Dae-jung when he was alive: the crisis of democracy, an economic crisis and the crisis of inter-Korean relations.

In six months, President Lee will meet the halfway point of his administration. His administration will suddenly move into its latter half. The time left, however, is sufficient for him to redeem his mistakes and become a successful president. The main issue is the extent to which the president’s view of reality and style of national management changes. The starting point is, as we have stated endlessly, the president’s will to drop his arrogance, go-it-alone administration, obstinance and self-absorption. We hope that as he marks his second anniversary in office, the president engages in a humble reflection of his administration to date.

이 대통령의 겸허한 성찰을 기대한다

이명박 대통령이 취임한 지 오늘로 두 해가 된다. 그러나 피부로 느끼는 세월의 부피는 그보다 훨씬 크고 무겁다. 그만큼 하루도 마음 편한 날 없었고, 소용돌이의 연속이었다.

지난 2년을 되돌아보며 이런 질문을 던져본다. 우리 사회는 더 따뜻해지고, 사람들은 더 어깨를 활짝 펴고 살게 됐는가. 사회 구성원들 사이의 신뢰와 존중은 더 깊어지고 갈등의 벽은 낮아졌는가. 서민들의 살림살이는 나아지고, 그늘진 이웃은 줄어들고 있는가. 한반도의 긴장은 완화되고 남북간 화해와 협력의 기운은 증진됐는가. 이런 물음에 대한 답은 안타깝게도 회의적이다.

2년 전 이 무렵 새 정부에 거는 기대는 이 대통령을 대선 과정에서 지지하지 않았던 사람들도 별반 다르지 않았다. 우리 사회가 지난 십수년간 이룩한 성과를 바탕으로 한걸음 더 전진할 것이라는 믿음이 있었다. 그것이 역사의 순리라고 여겼다. 게다가 이 정부가 표방한 슬로건은 다름아닌 실용주의였다. 실용주의의 실체는 모호했으나, 특정한 이념이나 노선, 주의주장 따위에 구애받지 않고 실리를 추구해 유연하게 국정운영을 하겠다는 다짐으로 들렸다. 하지만 그런 희망은 물거품이 되었다.

이명박 정부가 지난 2년간 가장 공을 들인 것은 엉뚱하게도 과거 지우기였다. 이런 노력은 오히려 더 먼 과거로의 퇴행을 불러왔다. 옛 권위주의 정권을 뺨치는 신권위주의·신보수주의 시대가 열리면서 우리 사회는 어두운 과거의 터널로 다시 후진해 들어가 버렸다. 지난 2년은 우리가 힘들게 쌓아온 민주주의의 토대가 얼마나 허약한지를 생생히 보여준 기간이었다.

사회 통합과 갈등 해소는 이명박 정부 앞에 놓인 중요한 시대적 과제 가운데 하나였다. 그럼에도 이 정부는 지역·이념·계층·세대간 갈등을 치유하기는커녕 오히려 상처를 덧내고 더 키웠다. 자신과 다른 생각을 한다고 판단한 쪽에 대한 철저한 배제와 일방통행식 국정운영 앞에서 화합과 소통은 설 자리를 잃어버렸다. 남북관계 역시 대결과 대화 노선이 혼재한 채 좌충우돌하면서 방향을 잃어버렸다.

글로벌 금융위기의 파고를 나름대로 무난하게 넘은 것은 평가할 대목이다. 하지만 고용 없는 성장이 심화되면서 일자리 부족의 어두운 그림자는 더욱 짙어졌다. 게다가 경기부양책 등에 의존한 경제위기 탈출 정책이 앞으로 어떤 부작용을 낳을지는 아무도 모르는 형편이다. 결국 김대중 전 대통령이 생전에 지적한 민주주의 위기, 민생 위기, 남북관계 위기 등 3대 위기는 고스란히 현 정부의 2년 성적표인 셈이다.

이 대통령은 머잖아 임기의 반환점을 돌게 된다. 임기 후반에 접어드는 것이다. 앞으로 남은 기간은 그동안의 잘못을 만회하고 성공적인 대통령이 되기에 충분한 시간이다. 문제는 이 대통령의 현실인식과 국정운영 방식이 얼마나 바뀌느냐다. 그 출발점은 그동안 끊임없이 지적돼온 오만과 독선, 아집과 편협, 자기도취에서 벗어나는 것이다. 취임 두 돌을 맞으면서 무엇보다 이 대통령의 겸허한 성찰이 있기를 기대한다.

[한겨레사설 2/24]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