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uth Korea’s recorded economic growth in the first quarter of this year marked a 7.8 percent increase from last year. Compared also to the previous quarter, it rose 1.8 percent. This is a high index that could be praised, as it is in analysis by the Bank of Korea (BOK), as South Korea’s nearing the path to long-term growth. It indicates that the South Korean economy has shaken off the shock of the 2008 world financial crisis and reentered a growth trend. It also means that our government’s policy response to the financial crisis has borne significant fruit.
An examination of the growth and the pace, however, raises a number of concerns. In viewing the economic growth from a production perspective, it is true that there are positive arguments to be made for boosting manufacturing and service production. However, from the perspective of spending, the growth contribution of government consumption (0.9 percentage points) was three times that of private consumption. It then becomes clear that the higher-than-expected growth is being propped up by government consumption. A fair amount of the growth in government consumption is due to the expansion of health insurance payments and social security spending, but ultimately, this is not a desirable phenomenon.
The speed of the growth is more problematic. We cannot call it overheated yet, but the speed of growth is too steep. A look at growth over the previous quarter shows that the South Korean economy recorded minus 0.2 percent growth in the fourth quarter of last year, but skyrocketed to 1.8 percent in the first quarter of this year. Over the year, the growth rate is over 7 percent. This exceeds the potential growth rate of the South Korean economy, which is estimated at around 5 percent. Growth that exceeds potential growth rate is unsustainable and causes ill side effects such as price instability and asset bubbles.
Ultimately, the task given to policymakers in the current situation is to enable sustainable growth by managing the South Korean economy in a stable manner, which has shaken off the financial crisis and regained a growth trend. To do so, policymakers must create the conditions to allow the private sector to take on a bigger role than the government sector and adjust the growth rate by raising the interest rate. To remain tied to a 2 percent base interest rate in a situation where the growth rate exceeds 7 percent is illogical. Now is the time to enact a full-scale exit strategy by gradually raising the base interest rate.
It is paramount to remember that if a cheap monetary policy continues to maintain a high growth rate, despite the factors previously mentioned, it could cause the economy to contract. Spending and currency issues can be effective when used reasonably, but if too great a dependency for too long a period of time can transform them into poison, dropping the potential growth rate. This is not the time for policymakers repeat the statement that there would be no change in their position that it is too early to raise the interest rate, despite the economy having begun a full-scale recovery.

출구전략 시행, 본격 추진할 때다

지난 1분기 경제성장률이 전년 동기 대비 7.8%를 기록했다. 전분기에 비해서도 1.8% 성장했다. 한국은행 분석대로 “장기 성장 경로에 근접했다”고 평가할 수 있을 정도의 높은 수치다. 이는 우리 경제가 2008년 세계 금융위기의 충격에서 벗어나 성장세로 돌아섰음을 보여준다. 또한 금융위기를 맞아 우리 정부의 정책적 대응이 상당한 성과가 있었음을 의미한다.
하지만 성장 내용과 속도를 보면 우려스런 점도 적잖다. 생산 측면에서 보면, 제조업과 서비스업 생산이 증가하는 등 긍정적인 면이 있는 게 사실이다. 그러나 지출 측면에서 보면, 정부소비의 성장기여도(0.9%포인트)가 민간소비 성장기여도의 3배나 됐다. 예상보다 높은 성장이 정부소비에 의해 떠받쳐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정부소비 증가의 상당 부분이 건강보험급여 등 사회보장지출 확대에 따른 것이긴 하지만 결코 바람직한 현상은 아니다.
성장 속도는 더 문제다. 아직 과열이라고 할 수는 없겠지만 속도가 너무 가파르다. 전분기 대비 성장률을 보면, 지난해 4분기에 0.2%로 낮아졌다가 올 1분기에 다시 1.8%로 급증했다. 연율로 환산하면 7%가 넘는다. 이는 5% 안팎으로 추산되는 우리 경제의 잠재성장률을 웃도는 수치다. 잠재성장률을 초과하는 성장은 오래 지속할 수도 없고, 물가불안이나 자산거품 등 부작용을 불러온다.
결국 지금 상황에서 요구되는 정책당국의 과제는, 경제위기에서 벗어나 성장세로 들어선 우리 경제를 안정적으로 관리함으로써 지속적인 성장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려면 정부부문보다는 민간부문이 더 큰 구실을 할 수 있도록 여건을 조성하고, 금리를 인상해 성장 속도를 조절해야 한다. 성장률이 7%를 웃도는 상황에서 기준금리를 2%로 묶어두는 것은 앞뒤가 맞지 않는다. 단계적인 기준금리 인상 등 본격적인 출구전략을 시행할 때가 됐다.
그럼에도 높은 성장률을 그대로 유지하려고 저금리 정책 등을 지속한다면 반대로 경기 후퇴를 맞을 수 있음을 명심해야 한다. 재정지출이나 통화증발은 적절히 활용하면 효과가 있지만 거기에 너무 오래 의존하면 잠재성장력을 떨어뜨리는 등 오히려 독이 된다. 경기 회복세가 본격화했음에도 “금리인상이 시기상조라는 기존 입장에는 변화가 없다”는 말만 되풀이하고 있을 때가 아니다.

[한겨레 사설 4/27]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