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우리농업은 대외적으로는 자유무역협정 타결 등으로 농산물 시장의 개방 확대와, 대내적으로는 국민의 삶의 질 향상에 따른 안전한 먹거리에 대한 욕구를 충족해야하는 여건에 놓여 있다.

국민이 잘먹고 잘살자는 웰빙 추세에 맞춰 농업정책도 생산자 중심에서 소비자·품질위주로 변화 된지는 수년이 지났다. 정부는 2001년부터 2005년까지 제1차, 2006년부터 5년간 친환경농업육성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주요 시책으로는 친환경농업지구, 직접지불제, 친환경농자재, 토양개량제, 푸른들가꾸기, 천적 해충방제, 자연순환농업, 친환경농업 기술개발과 유통활성화 사업 등 다양한 시책을 추진하고 있다.

친환경농업육성법에서는 ‘합성농약, 화학비료 및 항생·항균제 등 화학자재를 사용하지 아니하거나 이의 사용을 최소화하고 농·축·임업 부산물의 재활용 등을 통하여 농업생태계와 환경을 유지·보전하면서 안전한 농축임산물을 생산하는 농업’을 말한다고 정의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무농약 농산물을 포함하고 있다.

국제기준(Codex)은 ‘생물의 다양화, 생물학적 순환의 원활화, 토양의 생물학적 활동 촉진 등 농업생태계의 건강을 증진·향상시키려는 총체적 생산관리 체계로서 가능한 합성물질 사용과 반대되는 재배방법 또는 생물학적·물리적 방법을 사용하는 농법’으로 되어 있다. 즉 국제기준은 우리나라의 친환경농산물 종류 중 유기농산물만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다.

우리나라 소비자는 농·식품의 안전성에 대하여 민감하게 반응한다. 여름철 식중독 사건, 잔류농약 등 관련 내용이 언론에 보도되면 해당 농·식품은 판매량이 급감하고 이를 회복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일이 걸린다.

최근 한국농촌경제연구원에서 실시한 설문조사 자료를 보면 친환경농업 실천농가는 판로확보, 생산기술문제, 농자재확보문제를 애로사항으로 들고 있다. 소비자의 친환경농산물 구입동기는 가족의 건강을 최우선으로 꼽고 있다.

소비자가 요구하는 적정 프리미엄은 유기농산물, 무농약, 저농약 순이다. 소비확대를 위한 방안은 가격인하, 신뢰확보, 소비자 홍보 순으로 답했다.

이를 보면 소비자는 가족의 건강을 위하여 친환경농산물을 구입하고 있으며, 가격인하와 신뢰확보가 소비확대를 위해서는 우선되어야 할 것이다.

친환경농업 실천농가나 관련기관에서는 소비자의 요구사항이 반영되도록 적극 노력해야 하며, 소비촉진을 위한 홍보에도 많은 노력을 경주해야 한다.

친환경농산물 생산량은 매년 30%정도 증가하고 있어 생산이 소비를 앞서고 있다고 볼 때 친환경농산물간에도 판매경쟁이 불가피하다고 본다. 상대적으로 가격이 싸면서도 품질이 우수하며 소비자와의 신뢰를 구축한 농가가 경쟁력을 가지게 될 것이다.

사실이다! 친환경농업은 우리가 처해 있는 대내외적인 여건으로 비추어 볼 때 우리농업이 살아남기 위한 미래 핵심 전략산업으로 육성 발전시켜야 할 사업임에 틀림없을 것이다.

허  재  영
동부농업기술센터 농촌지도사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