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roversy has continued in the wake of the conservative-leaning Korean Federation of Teachers’ Associations’ (KFTA) announcement that it plans to push to allow political activities by teachers and teachers’ groups. Conservative news outlets and educational groups unanimously expressed their opposition, and calls for restraint were reportedly heard even within the federation.


At the heart of the opposition to political activity by teachers is the fact that the political neutrality of education may be compromised, and the schools turned into a forum for political wrangling. In its call for permission to engage in political activity, the KFTA amplified these concerns by arguing that there was no longer any meaning in upholding neutrality in a situation where education is subordinated to politics.


Freedom for teachers to engage in political activity is necessary to guarantee the political neutrality of education. It does not mean that teachers’ groups are free to act as political groups for the sake of their interests. The autonomy and neutrality of education guaranteed in our Constitution is understood to mean the right to educate autonomously, free from improper controls by any and all authorities, including political powers. In no way does it uphold educational neutrality to blindly and uncritically follow along with the dictates of the administration and ruling party. As such, the goal of the teachers’ demand for permission to engage in political activity must be to preserve the neutrality and autonomy of education.


Korean society also needs to hold a real debate on teachers’ political activities upon this basis.


Since the Korean Teachers’ and Education Workers’ Union (KTU, Jeon Gyo Jo) lodged a constitutional appeal on the law restricting its freedom of political activity, and the KFTA declared its intent to pursue political activity in 2001, there have been intermittent calls for teachers to gain the right to engage in political activity.


Of course, the Constitutional Court ruled the prohibition constitutional in 2004, saying that teachers have a major influence o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ies and that political activity by teachers could be viewed from the student’s perspective as an infringement of the right to teaching. But the issue has become the object of society’s attention once again recently with the controversies over a KTU emergency statement and the alleged payment of Democratic Labor Party dues by KTU members.


It was in 1966 that the International Labour Organization made the recommendation that all teachers be allowed to exercise all civil rights freely. In 2006,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issued a recommendation that political freedoms for teachers be expanded. But South Korea still remains the only OECD member nation that fully prohibits political activity. If our country is to call itself a truly advanced nation, it should immediately initiate real discussions toward meeting international standards.

교원의 정치활동 허용, 진지한 논의 필요하다

보수적인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교총)가 교원과 교원단체의 정치활동을 추진하겠다고 밝힌 뒤 이 문제를 둘러싼 논란이 지속되고 있다. 보수언론이나 보수적 교육단체들은 한결같이 반대입장을 피력하고 있고, 교총 내부에서도 신중론이 제기되고 있다고 한다.


교원의 정치활동을 반대하는 논리의 핵심은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이 훼손되고 학교 현장이 정치적 싸움의 장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교총은 정치활동 허용을 요구하면서 교육이 정치에 예속된 상황에서 중립을 지키는 것은 의미가 없다고 말함으로써 이런 우려를 증폭시켰다.


하지만 교원의 정치활동의 자유는 교육의 정치적 중립성을 보장하기 위해 필요한 것이지 교원단체가 자신의 이익을 위해 정치집단처럼 행동해도 된다는 의미는 아니다. 우리 헌법이 보장하는 교육의 자주성과 중립성은 정치권력을 포함한 모든 권력의 부당한 지배를 받지 않고 자주적으로 교육할 권리를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정부 여당의 요구를 비판 없이 무조건 따르는 게 교육의 중립성을 지키는 것은 결코 아니다. 그러므로 교원의 정치활동 요구의 목표는 교육의 중립성과 자주성을 지키기 위한 것이 돼야 한다.


이를 기반으로 우리 사회도 교원의 정치활동에 관한 논의를 본격화할 필요가 있다. 사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이 정치활동의 자유를 제한하는 법률에 대한 헌법소원을 제기하고, 교총이 정치활동 추진 뜻을 밝힌 2001년을 시작으로 교원들의 정치활동 허용 요구는 단속적으로 이어졌다. 물론 헌법재판소는 2004년 초·중등 학생들한테 교사가 미치는 영향이 크고 교사의 정치활동이 학생 입장에서는 수업권 침해로 받아들여질 수 있다며 정치활동을 금지한 법률을 합헌이라고 결정했다. 하지만 최근에도 전교조의 ‘교사 시국선언’과 일부 전교조 회원의 민주노동당 당비 납부 등을 둘러싼 논란이 불거지면서 이 문제가 다시 한번 사회적 관심 대상이 됐다.


국제노동기구가 교원도 모든 공민권을 자유롭게 행사할 수 있어야 한다는 권고를 낸 것은 1966년의 일이다. 국가인권위원회도 2006년 교원의 정치적 자유를 확대하라는 권고를 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아직도 정치활동을 전면금지하는 유일한 경제협력개발기구 회원국으로 남아 있다. 진정 선진국을 자처하려면 이제라도 국제적 표준에 맞추기 위한 논의를 본격적으로 시작해야 한다.

[한겨레사설 10/19]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