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행 땐 ‘10년 청정지위’ 물거품...약품 확보여부도 이달 말 결론
도, ‘만약의 상황’ 예상한 사전 준비대책 성격 짙어

제주도가 최근 전국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구제역 예방을 위해 예방백신을 공급을 정부에 공식으로 건의한 가운데 약품 공급이 이뤄진다고 하더라도 실제 백신투입은 쉽지 않을 전망이다.

제주도의 한 관계자는 이와 관련, “제주 축산의 최대 대외브랜드가 청정 이미지인데 10년간 유지해 온 이 같은 지위를 쉽게 포기하기가 쉽지 않다”고 이 같은 분석을 뒷받침 했다.

현재 전국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구제역은 전라남도와 경상남도, 그리고 제주도가 유일하게 미발생 지역으로 남아있다.

경남과 전남 가운데 경남에 이어 전남은 지난 13일부터 한우를 대상으로 구제역 백신접종을 시작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런데 제주의 경우 이들 지역과 달리 섬 지형이어서 구제역 차단에는 ‘천혜의 조건’을 확보하고 있어 섣불리 백신접종을 단행하기가 쉽지 않은 상황이다.

특히 제주는 섬 지역이라는 지형적 이점으로 인해 도내 양돈 및 한우사육 농장이 모두 1시간 거리 내에 위치해 말 그대로 ‘신속방역’이 가능하다.

이로 인해 제주도가 정부에 정식으로 구제역 예방백신 공급을 요청했다고 해서 이를 곧바로 접종실시로 판단하기는 무리라는 분석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더욱이 구제역 예방백신의 경우 독립된 특정지역이 단순히 예방차원에서 실시하기 보다는 발생초기 확산방지를 위해 백신접종을 실시하는 점을 감안할 때 제주의 축산농가에 백신투입이 실제 이뤄질지는 미지수다.

전국 축산농가들 대상으로 1차 구제역 백신접종을 벌이고 있는 정부는 조만간 2차 백신접종을 추진하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져 제주도에 대한 백신공급 여부는 이달 말에나 결정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제주도가 정부로부터 구제역 예방백신을 확보한다고 하더라도 현재 한우 농가를 중심으로 접종반대 의지가 강하게 표명되고 있는 점 등을 감안할 때 실제 접종까지는 적지 않은 기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접종 실시의 당위성과 접종에 따른 ‘후유증’이 극명하게 대립하고 있는 사안인 만큼 백신 확보 후 도민공론화 과정 등 실제 접종여부는 도민 및 축산농가의 의지가 크게 좌우 할 것으로 보인다.

결국 제주도가 정부에 백신공급을 공식으로 신청한 것은 이 같은 미묘한 상황들을 종합적으로 감안한 사전 준비책의 일환으로 분석되고 있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