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직의 나사가 풀릴 대로 풀렸다. 공직기강이 심각하게 해이되고 있는 것이다. 이명박 대통령이 최근 국무회의에서 “이제 한계가 왔다. 이대로는 안 된다는 인식이 필요하다”고 강조한 것도 공직비리의 심각성에 대한 우려에서 비롯됐다.
 이것이 비록 정권의 레임덕 현상에서 비롯된 것이든, 공직기강 감독기관의 무력감 때문이든 공직비리는 나라의 건강을 좀먹는 암적 존재가 아닐 수 없다.
 국토해양부 직원들이 제주에서의 ‘향응성 연찬회’가 공직기강 해이의 심각성을 일깨워주는 촉매제로 작용하고 있지만 이는 남의 동네이야기로 그치지 않는다는 데 문제의 심각성이 있는 것이다.
 최근  검.경이 제주의 인.허가 관련 공무원과 자재납품 업자와의 금품수수 정황을 포착, 관련 업체에 대한 압수 수색을 실시한 것도 타시도 공무원에 비해 상대적 청렴성을 자랑하던 제주지역 공무원들로서는 얼굴을 들 수 없게 만드는 부끄러운 사례라 할 수 있다.
 특히 서귀포시 공무원인 경우 최근 3년 사이 6건의 각종 비리에 연루돼 사법처리를 받았다. 불법도박 운영, 기초생활 수급자에게 지급해야 할 생계주거 금액을 가로챘다가 적발되는 등의 비리들이다.
 그런데 이번에는 쓰레기 매립장 공무원이 쓰레기 퇴비 제작자재 구입과 관련 업체와의 금품수수 의혹 등 유착정황으로 경찰의 수사를 받고 있다. 쓰레기 같은 냄새를 풍기는 ‘'공무원과 업자’와의 유착 비리를 파헤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공직비리와 공직기강 해이는 정권 말기 현상에 더해 내년 총선과 대선을 앞둬 더욱 기승을 부릴 것이라는 전망이 많다. 선거를 앞둬 이곳저곳 눈치 살피기나 공직의 무사안일에 의한 직무태만도 심각해 질 것이라는 예상도 할 수 있다. 
  공무원 비리나 공직기강해이는 공직 기강을 바로잡는 공직 감찰 기관의 무력감에서 나올 수 있다는 것이 일반적 시각이다. 공직 감찰기관의 공직자들 역시 정권 말기 현상을 틈타 유력 정치권에 줄 대기 위해 직무를 유기하는 것일 수도 있어서다. 이유가 어디에 있든 나사 풀린 공직 기강확립을 위해 특단의 조치가 필요한 시점이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