耽羅-産情大 통합캠퍼스에 유의해야 할 일

지역균형발전도 고려해야 한다
耽羅-産情大 통합캠퍼스에 유의해야 할 일

1

 교육과학기술부 대학설립심사위원회가 엊그제 동원교육학원이 제출한 탐라대학교와 제주산업정보대학의 통합 안(案)을 가결처리 했다고 한다. 이로써 두 대학 간의 통합은 교육과학기술부 장관의 승인절차만 남아있는 셈이다. 교육계에서는 늦어도 다음 달 중으로 장관 승인이 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정부의 대학통합 승인 절차가 거의 마무리 되자 동원학원 측은 통합대학교의 개교시기를 내년 3월로 잡고 있는 모양이다. 그리고 교명(校名)도 21세기 글로벌 시대에 부응할 수 있는 ‘제주국제대학교’로 정하는 한편, 일부 신설학과를 설치하는 등 새로운 진로를 모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하지만 동원학원 측은 탐라-산정 두 대학의 통합에 따른 고민도 없지 않은 듯하다. 캠퍼스 문제 때문이다.

 2

 통합추진위원회 측은 통합대학 캠퍼스로 제주시 산천단 소재의 기존 산업정보대학 부지 및 시설들을 활용할 계획인 듯하다. 따라서 서귀포시의 유일한 대학인 현 탐라대 캠퍼스는 감독관청의 허가를 받아 수익용 재산으로 전환한 뒤 임대 혹은 매각해 통합대학 발전을 위한 재원으로 사용한다는 구상인 것 같다.
 그러나 이 경우 탐라대학이 위치한 서귀포시 지역 주민들의 반발을 어떻게 풀 것인가 하는 점이 가장 큰 문제다. 이미 해당 지역 주민들이 이를 미리 예측, “절대 반대”를 표명했던 터라 캠퍼스 이설이 구체화 될 경우 상당한 반발에 부딪칠 것임은 불을 보듯 뻔하다.
 탐라대학이 지금의 위치에 들어서게 된 역사가 그것을 말해 주고 있다. 탐라대학 자리는 원래 하원마을 주민의 공동목장 자리다. 대학이 들어선다는 전제하에 비교적 헐값으로 공동목장을 매각해 준 것이다. 다른 시설이었다면 주민들이 대대로 이어 온 공동목장을 팔아넘길 하등의 이유가 없었다. 말하자면 대학 유치가 공동목장 매각의 회원 설득 원천이었다.
 사실 산남-북 지역 균형 발전을 위해 시급한 것은 오늘에도 역시 서귀포 지역의 대학다운 대학 유치다. 지금 서귀포 교육발전기금에 영세민까지 호응하는 것은 그런 염원 때문이다.

3

 물론 대학 측, 특히 사립대학 측의 입장만을 생각한다면 ‘도 수도(道首都)’로 캠퍼스를 정하는 것은 이해가 간다. 그렇더라도 제주도의 가장 큰 숙원이 산남-북 지역균형발전이요, 거기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이 대학이라면 아무리 재단 영향이 큰 사립대학이라 하더라도 적극 고려해 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대학부지 매입 당시 공동목장 주인들인 주민들과의 약속을 지키기 위해서도 그렇고, 제주지역 균형 발전에 일조하기 위해서도 그렇다.
 제주도와 현지 책임 행정청인 서귀포시도 이 문제를 심도 있게 연구해서 대학통합 추진위는 물론, 재단 측과 진지한 논의를 전개해 나가야 할 것이다. 탐라대학 캠퍼스로의 통합을 전제로 서귀포 교육발전기금의 장학금 활용도 검토해 볼만 할 것이다.
 모르긴 해도 만약 탐라대학교 캠퍼스 이전이 현실화 된다면 주민 저항이 만만치 않을 것이요 그렇게 된다면 강정해군기지에 이은 제2의 지역갈등이 생겨날지도 모른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