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로 우리나라와 중국이 수교한 지 20년이 됐다. 한-중 관계는 수교 이후 비약적으로 발전했다. 두 나라 관계를 공식 규정하는 이름의 변천사만 봐도 변화의 정도를 실감할 수 있다. 1992년 수교 당시엔 ‘우호협력관계’로 출발했으나 98년 김대중 대통령의 중국 방문을 계기로 ‘21세기를 향한 협력 동반자관계’로 격상됐다. 2003년 노무현 대통령의 방중 땐 ‘전면적 협력 동반자관계’로 다시 격상됐다가 2008년 이명박 대통령의 방문을 계기로 ‘전략적 협력 동반자관계’가 됐다.

특히 경제·문화 등 비정치 분야의 발전이 눈부셨다. 63억여달러로 시작한 무역 규모는 지난해 2206억여달러로 35배 이상 늘었다. 미국·일본과의 교역 규모를 합친 것보다도 더 큰 액수다. 수교 당시 13만여명에 불과하던 양국간 방문자 수도 지난해 660만명을 넘어섰다. 중국 관광객과 쇼핑객 없는 서울 명동과 제주도를 상상하기 어렵게 됐고, 베이징의 젊은이들이 서울과 동시에 한국 드라마와 케이팝을 즐기는 시대가 열렸다. “물이 흐르면 개천이 될 것”이라는 수교 당시 리펑 중국 총리의 예언이 초라하게 들릴 지경이다.

반면 정치·안보 쪽은 ‘경열정랭’(경제는 뜨겁지만 정치는 차갑다)이란 말이 나올 정도로 관계가 부진하다. 중국과 북한의 전통적 우호관계와 미국의 아시아 귀환과 함께 온 미-중 대립이라는 외부 환경 요인이 작용하고 있음을 부정할 수 없다. 하지만 이명박 정부 들어 김대중·노무현 정권 때와 견줄 수 없을 정도로 관계가 틀어진 건 전략 부재 탓이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 말로는 양자·지역·세계 문제에 걸쳐 모든 사안을 협력할 수 있다는 전략적 관계로 설정해 놓고 실제론 대미 일변도 정책을 취하면서 중국의 반발을 초래했다. 천안함, 연평도 사건이 터진 2010년은 양국간 ‘전략적 불신’이 최고조에 오른 시기였다.

동북아의 평화와 안정, 한반도의 통일을 이루려면 중국의 협력이 절대적이다. 경제 번영은 두말할 나위도 없다. 중국은 미국과 함께 2대 강국으로 불릴 정도로 급성장했지만, 보시라이 사건, 김영환 사건에서 보듯 인권·민주 등 가치에 대한 인식에선 아직 우리와 격차가 크다. 동북공정과 만리장성 늘리기에서 나타나듯이 배타적 국수주의 성향도 강하다. 하지만 우리는 이런 골치 아픈 거인을 상대하지 않을 수 없다. 국익을 위해서라도 중국이 이 지역에서 생산적 협력자 노릇을 할 수 있는 환경 조성에 나서야 한다. 국가 생존 전략 차원에서 한-중 관계를 점검하고 재정립할 때다.

[8월23일 한겨레]


On 20th anniversary, time to revise relationship with China

It was twenty years ago today that South Korea and China established diplomatic relations. In the years since, bilateral relations have developed by leaps and bounds. The names applied to the relationship give a sense of how things have changed. It started out in 1992 as a “relationship of friendship and cooperation.” After President Kim Dae-jung visited China in 1998, it was upgraded to a “relationship of companions cooperating toward the 21st century.” Another upgrade came in 2003, when they became a “relationship of comprehensive cooperation” during a visit by President Roh Moo-hyun. And when current President Lee Myung-bak traveled there in 2008, it was transformed into a “relationship of companions in strategic cooperation.”

The achievements in non-political areas like culture and the economy have been especially impressive. Trade volumes have risen from just around US$6.3 billion in 1992 to US$220.6 billion last year - a 35fold increase. That’s more that South Korea’s trade with the US and Japan put together. There has also been a huge rise in travel between the two countries, from around 130,000 visitors around the time relations were established to over 6.6 million in 2011. It is difficult to imagine places like Seoul‘s Myeong-dong neighborhood and Jeju Island without their crowds of Chinese tourists and shoppers. Meanwhile, young people in Beijing are enamored not just of Seoul, but also Korean television and pop music. Back in 1992, Chinese Premier Li Peng said, “Where water flows, streams will come into being.” It’s been all that and then some.

But there’s also a new expression that sums up the sad state of our relationship in terms of politics and security: “hot economy, cold politics.” There’s no disputing that this is mainly due to chafing between Beijing and Washington, the former with its traditionally friendly relationship with Pyongyang and the latter with its “return to Asia” policy.

Still, some of the blame for things being so much worse under Lee than under either Kim or Roh must be laid at the doorstep of the administration and its lack of a clear strategy. They are the ones who provoked Beijing - establishing a strategic relationship for cooperation on bilateral, regional, and global issues, and then turning around and prioritizing relations with Washington above all else in its actual policies. This “strategic distrust” really came to a head in 2010, the year of the Cheonan warship sinking and the North Korean attack on Yeonpyeong Island.

Cooperation with China is essential if we ever hope to achieve peace and stability in Northeast Asia and re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We need China for our economic well being also. China may have gone through a period of rapid economic growth that has some putting it alongside the US as one of the world’s only two superpowers, but there is still a values gap with South Korea in various areas, most notably human rights and democracy. Recent episodes with disgraced official Bo Xilai, North Korean defectors, and South Korean activist Kim Young-hwan bear this out. We also see an intense streak of nationalism, as seen with the “Northeast Project” claims and attempts to locate the easternmost point of the Great Wall in Korean territory. For the time being, we have no choice about reckoning with this frustrating but massive force. Seoul needs to take this into account and set about fostering an environment where China can be a productive regional partner to us. For the sake of our own national survival strategy, the time has come to revisit and revise our relationship with Beijing.



일본의 독도 제소, 의연하고 치밀하게 대응해야

정부는 우리의 의지에 관계없이 독도 문제가 국제문제화돼가고 있는 이상 ‘국제사법재판소에 갈 필요는 없다’는 말을 반복하는 것을 넘어 ‘독도는 우리 땅’이라는 논리와 근거를 정리·개발해 국제사회에 홍보하는 일에도 힘써야 한다. 더불어 대승적 차원에서 한-일 관계 복원에도 힘을 기울이기 바란다.


[8월17일 한겨레]


Korea will need to make its case for Dokdo

Now that the Dokdo matter is becoming an international issue, whether the people of South Korea like it or not, the government needs to do more than just reiterate over and over how there is "no need to go to the ICJ." It should also be focusing energies on organizing and developing a clear case for South Korea's territorial jurisdiction of the islets, and making its case with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nd in the broader scheme of things, it needs to work on restoring our now strained relationship with Tokyo.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