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건 불리 감안 '종합대책' 필요

전략이 없다.
정부의 혁신도시 건설 계획에 따라 제주도는 유치대상 공공기관을 종전 28개에서 39개로 확대하고 혁신도시건설추진위를 구성하는 등 겉으로는 활발한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반면 공공기관 유치를 실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행보는 눈에 띠지 않는 실정이다.
제주도가 확대 선정한 유치대상기관은 국제평화 관련 8개 기관을 비롯해 관광문화 6개 기관, 해양수산 7개 기관, IT 8개 기관, 의료. 교육 5개 기관, 개별이전 5개 기관 등이다.

혁신도시 건설 계획에서 제외된 대전, 충남. 북, 경기 등 지방을 제외한 나머지 지자체마다 '지역에 알맞으면서도 비중이 큰' 공공기관 유치에 발벗고 나서는 가운데 모든 여건에서 불리한 제주도 특성을 감안한 유치전략이 아쉽다는 분석이다.
우선 제주도는 도세가 약하다.

호남, 영남 지방 등은 고위직 공무원을 포함 국회의원 숫자, 정치적인 배려 등으로 공공기관 유치에 제주도와 견주면 다소 낙관적인 처지다.
예를 들어 영화 관련 공공기관을 놓고 제주도와 부산시가 경합을 벌인다면 그 결과는 어렵잖게 짐작할 수 있다.
또한 지리적인 면에서도 제주도는 불리하다.

공공기관에 근무하는 임직원이 생활터전을 제주도로 송두리째 옮기려면 교통. 거주. 교육 등 모든 면에서 불편을 감수할 수밖에 없다.
정부가 제주도 이전을 결정해도 노조 등을 중심으로 '반대'의 목소리가 예상되는 형편이다.

이에 제주도는 내부적으로 교통. 거주비용의 직.간접적인 지원을 염두에 두고 있으나 도민과의 형평성 문제 등이 다시 불거지게 될 가능성이 크다.
이러한 현실에 비춰 먼저 다른 지방의 공공기관 유치대상을 파악해야 한다는 것이다.

제주도와 겹칠 경우 이와 관련한 물밑 조율을 통해 '윈-윈 전략'을 구사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여기에 대상 기관 임직원들의 불편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 해당 기관의 노조 등을 상대로 '설득작업'을 전개해야 실현 단계에서 발생할 지 모르는 '잡음'을 사전에 막게 된다는 지적이다.

이와 관련 최근 김 지사는 간부회의를 통해 "각 실. 국장들이 공공기관 유치작업에 적극 나서라"고 주문했으나 이달 초 관련 기관을 방문한 모 국장은 " 호의적이라는 느낌을 받았지만 다른 지방의 동향이나 일반 임직원들의 입장에 대해서는 알지 못한다"고 밝혀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추진대책의 필요성을 도출했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