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전시설도 없는 수소차 보급 확대 가능한가

2025-11-25     제주매일

제주특별자치도가 내년도 예산안에 전기차 예산은 크게 줄이고 충전 인프라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수소차 예산을 신규 편성, 적절치 못하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특히 제주도가 새 정부 출범 이후 전기차 보급 목표를 2040년 100%로 설정한 것과도 어긋난다는 지적이다.
제주도는 2026년 본예산에 전기차 구입 보조금 예산으로 403억원을 편성했다. 이는 2025년 최종 예산 1019억1840만원에 비해 60.43% 감소한 금액이다. 반면 수소차(승용) 구입 보조금으로 91억9950만원을 신규 편성했다.
제주도의회 농수축경제위원회(위원장 양영식)가 지난 24일 제444회 제2차 정례회 3차 회의를 열고 제주도 혁신산업국 소관 2026년도 제주도 예산안을 심사하는 과정에서 이같은 문제가 집중 제기됐다.
한권 의원(더불어민주당, 제주시 일도1동·이도1동·건입동)은 “전기차 구입 보조금 예산은 전년 대비 40% 수준으로 감소한 반면 수소차 구입 보조금 예산은 신규 편성됐다”며 “제주도가 내연기관 차량 대체 우선순위를 전기차에서 수소차로 변경한 것이냐”고 따져 물었다.
또 현기종 의원(국민의힘, 서귀포시 성산읍)은 “그린수소 충전소가 함덕 1곳에만 있고 서귀포충전소는 2027년에야 운영이 가능한데 충전소도 없이 수소차 보급이 가능하냐”고 타박했다.
제주도가 2013년 전기차 민간보급을 시작한 이후 올해 8월 말 기준 4만2381대로 겨우 10.24%의 보급률에 그치고 있는 마당에 전기차 보급 정책 후퇴로 비쳐지는 모습은 바람직하지 않다.
겉만 그럴 듯하고 도정에 대한 신뢰도까지 떨어뜨릴 것이 뻔한 수소차 보급은 재고돼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