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매일은 7월 1일 창간을 맞아 공무원과 교수, 도의회 의원, 시민단체, 경제인 등 405명의 전문가 집단을 대상으로 제주도내 최대 공기업인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이하 JDC)에 대한 평가 설문을 진행했다. 이들이 바라본 JDC의 모습을 풀어본다. [편집자 주]

 

● JDC 인지도

JDC의 기능과 역할에 대해 인지도를 묻는 질문에 전체 응답자의 85.2%가 ‘보통’이상 알고 있다고 답했다.

‘매우 잘 알고 있다’는 응답은 19.8%였고, ‘잘 알고 있다’는 응답은 35.3%였다. ‘보통’이 30.1%였다. 그러나 10개로 나뉜 직업군별로 보면 설립된 지 13년이 지난 최대 공기업임에도 불구하고 잦은 접촉 군에서는 인지도가 높지만, 그렇지 않은 부분에서는 인지도가 낮게 나타나 개선이 요구됐다.

직업군별로는 ‘보통’이상 인지하고 있는 경우가 (의회)정치인이 100%로 가장 높았다.

JDC와 직접적인 접촉이 많은 직업군인 제주도 지방 공무원도 97.3%가 ‘보통’이상 알고 있었고 공사·공기업도 94.5%로 조사됐다. 대학 교수(88.2%), 경제인(87.5%), 교육 공무원(80.9%) 등도 80% 이상이 JDC에 대해 ‘보통’이상 알고 있다고 답했고, 시민단체(77%)와, 연구원(관)(75.8%)도 70%대에 이르렀다. 하지만 법조·경찰은 61.1%, 문화·예술·체육인은 29.4%로 다른 직업군에 비해 ‘보통’이상 알고 있다는 응답이 낮았다. 특히 문화·예술·체육인은 70.6%가, 법조·경찰은 38.9%가 ‘잘 모른다’ 또는 ‘전혀 모른다’고 답해 일부 직업군에서 인지도가 매우 저조한 것으로 드러났다.

 

● JDC 프로젝트·지역사회 기여평가

JDC가 추진하고 있는 각종 프로젝트와 지역사회 기여 활동에 대해서는 대체로 ‘보통’이라는 평가가 많았고 긍정보다는 부정적이라는 비중이 높았다. 전체 응답자 중 47.7%가 ‘보통’이라고 답했고 ‘잘한다’ 15.1%, ‘아주 잘한다’ 6.9%였다. 이를 합하면 ‘보통 이상’이 69.7%다. ‘못한다’라는 응답이 22.7%였고 ‘아주 못한다’라는 답도 7.7%로 나타났다.

직업군별로도 ‘보통’보다 나은 ‘잘한다’이상 답변이 절반이 넘은 경우는 공사·공기업(58.2%)이 유일했고 (의회)정치인과 문화·예술·체육인은 단 1명도 나타나지 않았다.

특히 ‘아주 잘한다’라는 응답은 공사·공기업(22명)과 제주도 지방 공무원(5명), 법조·경찰(1명)에서만 있었고, 나머지는 없었다.

‘보통’보다 못하다(못한다, 아주 못한다)는 답의 경우 시민단체가 69.3%로 가장 높았고 문화·예술·체육인(58.8%), (의회)정치인(48.0%), 법조·경찰(38.9%), 연구원(관)(37.9%) 순이었다.

 

● 예래휴양형주거단지 해결 방법

지난 3월 ‘토지강제수용 절차가 무효’라는 대법원 판단 이후 금융권의 자금지원 중단 및 사업부지 내 일부 토지주들이 공사중지가처분 신청을 하는 등 난항을 겪고 있는 예래휴양형주거단지 사업의 갈등 해결을 위한 적절한 방안을 묻는 질문에 응답자들은 ‘강제수용 토지주와의 재협상’을 가장 많이(33.6%) 원했다. ‘사업의 원점 재검토’도 31.1%에 달했고 ‘강제수용 토지주 설득’ 15.2%, ‘법대로 원상 복구’ 9.8%, ‘강제수용 부지 제외한 사업추진’ 8.1% 순이었다.

10개 직업군별로는 교육 공무원(44.7%), 대학 교수(35.3%), 연구원(관)(46.4%), 시민단체(53.8%), 법조·경찰(38.2%), 문화·예술·체육인(43.8%)이 ‘사업 원점 재검토’ 비중이 높았고, 나머지는 ‘강제수용 토지주와 재협상’을 선택했다. 연구원(관), 시민단체, 문화·체육·예술인의 경우 ‘강제수용 토지주 설득’을 택한 사람이 1명도 없었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