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카본프리 2030 프로젝트’
전기차 점유율 현재 1.96% 불과
도민 공감대 부족으로 갈길 멀어

정책 실현의지 담은 돌파구 필요
전기차 전용지역 지정·운영 검토
‘섬속의섬’ 우도 마중물이 됐으면

 

청정 환경은 제주의 큰 자산이다. 청정 이미지는 제주 경쟁력의 원천이다. 자연환경과 생활환경의 ‘청정성’ 유지에 도민사회가 심혈을 기울여야 하는 이유다.

제주도가 역점 추진하고 있는 ‘카본프리 아일랜드(탄소 없는 섬) 2030 프로젝트’도 그 일환이다. 2030년까지 도내 전력 수요의 100%를 신재생에너지로 대체하고, 자동차를 모두 전기차로 전환한다는 게 주요 내용이다. 전기차와 관련해서 제주도는 올해 공공부문 교체를 완료하고, 2020년까지 대중교통 교체, 2030년까지 도내 모든 차량을 전기차로 전환하는 목표를 제시했다. 배기가스 배출이 없는 전기차를 활용해 대기오염을 줄이고 제주 청정 이미지도 높이겠다는 전략이다.

제주도는 2013년부터 전기차 민간 보급을 추진했다. 지난 5월 말 현재 도내 전기차 보급 대수는 7067대로, 전체 차량(35만9907대)의 1.96%에 이른다. 점유율 2% 가까이 달성에 4년 6개월이 소요됐다. 2030년까지 100% 달성에는 갈 길이 멀어 보인다. 전기차 보급이 더딘 것은 충전 인프라가 부족한 데다 차량 구입 보조금 예산도 충분하지 않기 때문이다. 제주도의 정책 실현 의지도 강해 보이지 않다. 약간의 전기차 보급 확대에 만족하는 것 같다. ‘2030 프로젝트’가 선언적 의미에 그치고 있다.

‘2030 프로젝트’가 옳은 방향이지만 ‘전기차 100%’ 전환에 대한 도민 공감대는 아직은 그리 크지 않다. 정책 메시지를 보다 강력하게 전달해야 한다. 그 방안 중 하나로 도내 일정 지역을 전기차 전용 운행구역으로 지정해 운영하면 어떨까 한다.

이와 관련해 세계 유일의 전기자동차 도시 스위스 체르마트를 참고할 필요가 있다. 이 도시는 알프스 최고의 미봉 마테호른을 품고 있는 세계적인 관광 휴양지다. 체르마트시는 1990년부터 매연을 뿜는 내연기관 자동차의 시내 통행을 일체 금지하고 있다. 1977년부터 전기자동차를 도입한 뒤 적극적인 전기차 육성 정책을 추진한 결과 현재 일부 구급용 차량을 제외하고 화석연료 차가 없는 세계 전기차 상징 도시가 됐다.

체르마트시 관계자들이 제주 우도를 순수 전기차 섬으로 만드는 방안을 제시했다. 제주 국제전기자동차엑스포 조직위의 초대로 2016년 9월 제주를 방문한 체르마트시의 크리스토프 뷔르긴 시장은 “제주 순수 전기차 섬의 시작은 부속 섬인 우도에서부터 했으면 한다”고 말했다. 당시 우도를 방문한 그는 주민들에게 “우도를 순수 전기차 섬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사람들로부터 시작해야 한다”며 “생각을 바꾸는 게 어렵지 일단 환경을 지켜야겠다는 생각을 갖는다면 충분히 순수 전기차 섬으로 만드는 게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우도가 차량과 매연으로 몸살을 앓고 있는 현실에서 ‘순수 전기차 섬’은 고려할만한 정책으로 본다. 지난해의 경우 20만여대의 차량이 우도에 반입됐다. 이 가운데 80% 이상이 렌터카와 전세버스 등 사업용 차량이다. 수많은 차량에서 뿜어내는 매연 등으로 아름다운 섬의 정취는 간곳이 없다. 급기야 제주도가 렌터카 등 사업용 차량의 우도 반입을 불허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 지난 1일부터는 관광객 교통편의를 위해 우도 해안도로 순환버스가 운영되고 있다. 이번에 15인승 소형버스 20대가 투입됐는데 올해 연말까지는 전량 전기 버스로 교체할 계획이라는 것이다. 우도 청정 이미지를 감안한 조치다.

하지만 완전하지 않다. 렌터카 등의 반입을 불허하면서 도민 소유 내연기관 차량은 허용하는 것은 일관성도 없고 형평성에도 맞지 않다. 전기차에 한해 반입을 허용하면서 총량제로 관리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고 본다. 차제에 우도를 전기차 전용지역으로 지정하는 방안도 강구했으면 한다.

제주 전기차 100% 시대를 여는 데 우도가 마중물 역할을 하면 좋을 듯하다. 그러면 ‘2030 프로젝트’가 선언적 의미에 그치는 게 아니라 실현 의지를 담은 정책이라는 점을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다. ‘전기차 섬 우도’는 그 자체가 매력적인 관광상품이 될 수도 있다. 제주도정과 우도 주민들의 결단을 기대한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