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드보복 제주 관광에도 직격탄
내도 관광객 70% 이상 감소
사드사태 이후 대책 마련 나서야

인두세 폐지·면세점 구조조정 절실
국가 밖 중국자본 10조 달러
관련 기업·사람 제주 유치 바람직

 

중국의 사드보복 사태로 제주는 물론 국내 관광업계 대부분이 직격탄을 맞고 어려움을 겪고 있다. 특히 면세점과 숙박업 등 중국 단체관광객에 의존했던 업종에서 타격이 심각하다.

물론 이번을 계기로 중국 일변도 외국관광객 유치 전략에 대해 근본적인 반성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많다. 일본·베트남 등 관광객 국적을 다변화하고 단체관광보다는 부가가치가 높은 개별관광 유치에 힘쓰며, 불공정 덤핑 관행을 개선하고 송객수수료에 의존하는 마케팅방식을 개선해야 한다는데 의견이 모아지고 있다.

그래서 사드사태가 꼭 나쁜 것만은 아니라는 인식도 있다. 공항이나 관광지에서 중국인 단체관광객들의 소음이 줄어들어 오히려 차분한 분위기를 즐기려는 국내 관광객들이 증가하면서 경기가 예전보다 나아진 업종도 있다.

이 참에 여유를 가지고 제주의 미래가치를 생각해 볼 기회라고도 할 수 있다. 그동안 부동산가격 폭등·교통 혼잡·과도한 건축 붐과 쓰레기 방치 등 제주의 자연과 생활 환경이 계속 악화되는 것에 대해 적절한 대응을 하기 어려웠기 때문이다.

하지만 통계를 보면 ‘충격’은 계속되고 있다. 지난 9월중 제주를 찾은 중국인 관광객은 3만1000명에 그쳐 전년 9월에 비해 89%가 줄었다. 8월엔 3만9000명 등 금년 9월까지 누적실적은 65만6000명에 그치고 있다. 연중 감소율이 73%에 달하고 있으나 앞으로 10% 정도는 더 내려갈 전망이다.

내국인 관광객이 10% 정도 느는게 위안이긴 하나 워낙 중국인 관광객 감소가 급격하기 때문에 올해 제주도 전체 관광객은 지난해의 1585만명을 밑돌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인을 제외한 외국인 관광객도 금년 9월까지 4% 정도 증가한 38만명에 불과, 기대수준에 미치지 못하고 있다.

결국 제주도 당국이나 관광업계에서는 제19차 공산당대회가 끝나고 시진핑 집권 2기가 시작되어 중국정부가 태도를 바꾸기만 학수고대할 뿐이다. 그런데 중국인 관광객이 여전히 몰리고 있는 일본의 사정을 보면 과거처럼 명품을 싹쓸이하는 사람들이 많지 않다는 점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세계적 명품메이커들이 중국 국내 매장 진출을 늘리고 있고 인터넷을 통한 외국제품 구입이 확대되고 있기 때문에 굳이 해외에서 쇼핑할 필요성을 예전처럼 느끼지 못한다는 것이다.

우리는 사드사태만 풀리면 면세점 매출이 예전처럼 다시 늘 것이라고 잔뜩 기대하고서 매장이나 직원 구조조정을 미루고 있다. 결국은 관광객들을 높은 수수료(인두세) 주고서 데려오는 과거 악습이 반복될 가능성이 높다. 이렇게 되면 제주관광업계는 중국업계에 종속될 수밖에 없다. 더 늦기 전에 면세점 구조조정에 착수해야 할 것이다.

이와 함께 관광객 소개 수수료를 주고 받는 것 자체를 공정거래법상의 불공정지위 남용으로 보고 처벌을 대폭 강화해야 한다. 여행업 자체를 못하게 할 것이란 비판이 제기되더라도 ‘손님을 데려다 주고 뒷돈을 받는 행위’를 방치해서는 제주관광을 싸구려로 전락시키는 고질적 문제를 해결할 수 없을 것이다. 사전 행정지도 단속이나 업계 자율정화 노력으로 해결될 성질이 아니다.

장기적으로는 중국인 관광객을 중국 안에서 유치하는 것보다는 중국땅 밖에 있는 중국인이나 중국자본이 제주도로 오도록 체제를 변화시킬 필요가 있다. 동북아 정치정세가 상당기간 불안할 것이 예상되는 반면 이번 사드사태처럼 중국정부의 경직적 대외정책 조치가 럭비공처럼 불거질 가능성이 상당하기 때문에 제주의 관광산업과 경제의 안정을 위해서는 뭔가 획기적 대안이 필요하다.

중국 경제 규모나 발전 속도, 그리고 상호연관관계를 감안하면 제주경제의 미래 성장은 중국에 상당부분 의존하지 않을 수 없다. 그렇지만 중국 정부정책에 휘둘리지 않는 전략을 찾아야 한다.

예를 들면 중국땅 밖에 나와 있는 중국인을 상대로 하는 은행·보험사·투자운용회사·부동산신탁관리회사·개인지주회사들을 제주에서 설립하도록 허용하는 것이다. 중국땅 밖에서 돌아다니는 중국자본의 규모가 10조 달러를 능가한다고 한다. 이 돈을 관리하는데 관계된 기업이나 사람이 제주에 주소를 두거나 제주를 자주 찾도록 하는 제도를 적극 생각해 볼 때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