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친환경 급식 성지’ 옛말
벤치마킹 왔던 충남도 등 앞서가
학교급식 체계 효율화·고도화 달성

이젠 우리가 배워 개선방안 찾아야
현대화 지원물류센터 건립 필요
사업관리 등 전담주체 결정도 과제

 

 

지난달 ‘친환경 우리농산물 학교급식제주연대’와 위성곤 국회의원실 공동주최로 ‘제주 친환경급식지원센터 건립 방안 모색 정책토론회’가 있었다. 전국 최초로 시작된 제주 친환경학교급식에 초창기부터 참여했던 학교급식연대의 창립 14주년을 기념하는 행사였다. 제주대 친환경농업연구소 3층 대강당에서 열린 이날 토론회에는 급식담당 영양교사·친환경농업인 등 100명이 훨씬 넘게 참여하였고, 친환경급식에 대한 확고한 식견들이 표출되어 제주가 ‘친환경급식의 성지’라는 사실을 새삼 실감했다.

그동안 제주친환경급식은 전국에서 가장 앞서가는 선도모델이었다. 서울시 등 전국 곳곳에서 제주친환경급식의 운영체제를 벤치마킹하러 왔었다. 그런데 이날 행사에서는 최신시설의 물류센터를 갖추고 있는 충청남도 사례를 소개하는 주제발표가 주목을 받았고, 토론이 진행되면서 제주 친환경급식이 타 지역에 뒤처지고 있는 부분에 대한 개선방안을 찾아야 한다는데 이견이 없었다.

알다시피, 2003년 아라중학교 ‘초록빛농장’에서 시작된 전국 학교급식지원은 지역의 우수 친환경농수축산물 식재료를 아이들에게 공급하는 민·관 거버넌스 운영체제로 발전했다. 각 시도의 학교급식지원센터는 ‘학교급식법’ 제1조(목적)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학교급식의 질을 향상시키고 학생의 건전한 심신의 발달과 국민 식생활 개선에 기여’하기 위한 공공성을 지닌 장치이자 기구다.

학교급식체계를 보면 크게 행정관리기능, 식생활교육 및 홍보기능, 유통 및 물류기능으로 구분되고, 이들 기능들이 유기적으로 연계되어 발휘돼야 한다. 또한 식재료 생산과 유통, 소비과정을 거치는 공적 조달체계인 만큼 친환경농산물 생산기반 조성, 유통물류체계, 조리급식체계 등의 다양한 분야를 일련의 시스템으로 해결하는 종합적인 정책접근이 필요하다.

‘제주특별자치도 친환경우리농산물·무상급식 지원에 관한 조례’ 제1조에는 ‘친환경농수축산물 또 그 가공품 등 안전하고 우수한 식재료를 학교급식에 우선 사용함으로써 친환경 로컬푸드의 효율적인 생산 및 공급체계로 지속가능한 농업과 지역경제 발전에 이바지한다’는 목적이 명시돼 있다. 이에 근거해서 제주는 현재 어린이집과 초·중·고 851개교(소) 11만3448명에게 친환경학교급식을 실시하고 있다.

2010년 친환경학교급식 전면 실시 이후 2013년 도청 내에 친환경급식지원센터를 개소하여 도청·교육청·급식연대 등 민·관조직의 참여하에 식재료 공급계약과 발주 등 총괄적인 관리시스템을 운영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주친환경학교급식이 정책토론회를 거치면서 충청남도를 벤치마킹해야하는 이유를 제대로 인지하려는 인식전환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지금과 같이 유통 및 물류기능을 민간에 의존하고 학교마다 제각각으로 식재료 구입해야 하는 운영체제를 그대로 유지한 채 안주해서는 절대로 안 된다.

충남뿐만 아니라 경기도 등 전국 시군에서 최신시설의 물류센터를 건립하여 우수하고 안전한 식재료를 아이들에게 공급하고, 친환경농산물 구입 및 작부체계를 구축하는 등 학교급식체계를 효율화, 고도화하고 있음을 반면교사로 삼아야 한다.

결론적으로 제주 학교급식지원물류센터를 최적화된 현대식시설로 조기에 건립함으로써 안전하고 우수한 식재료를 공급하는 유통 및 물류체계를 고도화하고 지금의 행정관리체계, 식생활교육 및 홍보체계를 더욱 강화해야 한다는 것이다. 식재료의 안전성 확보를 위해 HACCP시설로 건립돼야 하며, 전처리, 소포장, 냉동·냉장저장, 입·출고 전실 및 실험실뿐만 아니라 가공시설까지 갖추게 되면 김치제조 등 간단한 가공식품 생산도 가능해진다.

따라서 당국은 제주 친환경학교급식지원물류센터 건립을 위해 얼마만큼의 규모가 적정한지, 센터 적정 부지가 어디인지, 그리고 국비 확보 등 구체적인 과제들을 과감하게 해결해나가야 할 시점이다. 직영을 할 것인지, 위탁할 것인지 등에 대한 면밀한 분석을 토대로 물류 및 사업관리의 전담주체를 결정하는 일도 핵심과제라고 할 수 있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