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발생 지진 등 인한 해일피해 가능성 높아
안내판만 형식적…어제 용역 보고회서 지적

제주도는 내륙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지진 발생 위험성은 낮지만 일본 등에서 발생한 대규모 지진으로 지진해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난 가운데 대피소 위치 또는 대피 경로에 관한 안내는 태부족인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특별자치도는 28일 본청 2층 삼다홀에서 제주연구원이 추진 중인 '제주형 지진방재 종합계획 수립 연구용역' 최종보고회를 개최하고 지진 방재 종합 대책을 논의했다.

이번 용역은 국내에서 규모 5.3의 지진이 발생하고 제주에서도 소규모 지진 발생 빈도가 증가하자 제주도가 제주지역에 적합한 지진 방재 대책을 마련하기 위해 지난 2월 착수했다.

제주도는 여건상 우리나라 내륙지역과 비교해 상대적으로 지진 발생 위험성은 낮지만 일본에서 발생한 지진과 해저지진으로 인한 지진 해일 피해 가능성은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제주도 연대기 탐라지에 따르면 1707년 일본 시코쿠 앞 대지진(규모 8.6)으로 제주도에 지진해일이 도달했던 것으로 기록된 바 있다. 또 일본정부에 따르면 도카이, 도난카이, 난카이 지진 발생 시뮬레이션 결과 지진 발생 4시간 후 서귀포 연안지역은 약 1m이상 침수를 유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조천 함덕해변과 삼양 검은모래해변 주변 등 태풍해일과 인명피해 우려가 높은 지역이지만 위험 안내 표지판만 설치 됐을 뿐 대피소 위치나 대피경로에 관한 안내는 부족한 것으로 확인돼 개선이 필요했다.

이에 제주연구원은 지진·지진해일 위험도에 대한 행동요령과 신속한 초기대응이 필요하다고 시사하며 최종보고서를 통해 예방·대비·대응·복구 등 총 4단계 15개 분야 42개 과제를 제시했다.

제주연구원은 “소규모 지진 발생에 대한 정보 공유와 단계별 행동요령과 매뉴얼을 보완해야 한다”면서 “도내 지진대피소가 지역별로 균등하게 있지 않는 점을 고려해 추가·확대 지정과 이재민 임시거처에 대한 계획도 별도 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한편, 제주도는 최종보고서가 완료되면 제시된 재난관리 단계별 핵심과제에 대한 세부추진 계획을 수립하는 한편 오는 2018년부터 발생하는 지진에 대처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