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교육청의 원도심 학교 살리기 정책이 실효를 거두지 못하고 있다는 소식이다. 지난 16일 열린 도의회 교육위원회 ‘작은학교 및 원도심학교 운영 활성화 방안’ 현안 보고에서 의원들은 도교육청의 원도심 학교 활성화 정책의 실효성 문제를 도마에 올려 질타했다고 한다.

보고에 따르면 도내 작은학교(전교생 100명 이하 또는 6학급 이하)는 현재 학생 수가 2014년 대비 898명 증가했다. 이 기간 학생 수 증가에 힘입어 일부 학교는 작은학교 타이틀을 벗었다. 더럭분교는 본교로 승격되기도 했다.

반면에 원도심학교 8곳(제주북초·일도초·서귀포초 등) 중 서귀중앙초와 서귀서초를 제외하고 학생 수가 오히려 줄었다. 한천초가 100명 준 것을 비롯해 6개교 학생 수가 4년간 총 350명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원도심 학교 살리기’ 구호와 이를 위한 지원이 무색하게 학생 수가 줄어든 것이다.

의원들은 이에 대해 도교육청의 소극적인 정책과 관심 부족을 원인으로 지적했다. 그러면서 차별화된 지원 등 특단의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부공남 교육의원은 “학교가 살아나기 위해서는 정규 교육과정의 차별화와 교통문제 해결이 관건”이라며 혁신적인 교육과정 등의 지원이 시급하다고 제안했다. 오대익 교육의원은 “학교 살리기와 사교육비 줄이기의 양면적 관점에서 획기적인 교육 프로그램 개설이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경청할만한 주장이라고 본다. 다만 원도심 학교 공동화 현상은 도시개발 정책과 연관성이 크다는 점을 강조하고자 한다. 제주시와 서귀포시의 택지개발 사업으로 젊은층이 대거 원도심에서 신도시로 빠져 나갔다. 주차 등 생활불편으로 초등학생 아이가 있는 부모들은 원도심으로 이사를 꺼린다.

결국 원도심 학교 살리기를 위해서는 해당 지역의 주거환경 개선 등 균형 잡힌 도시개발이 병행돼야 한다. 원도심 학교 살리기를 위해서는 제주도 차원의 협력도 절실하다. 물론 이것을 이끌어내는 것은 도교육청의 역량에 달렸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