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약(百藥)이 무효(無效)’다. 지난 2000년 이후 행정당국이 ‘문화를 통한 원도심 활성화’를 부르짖고 나섰지만 당초 주장했던 효과는 거의 나타나지 않고 있다. 때문에 아까운 혈세만 낭비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제주도는 2013년부터 2017년 7월까지 일도 1동과 건입동, 산지천 주변에 광장과 공원을 조성하고 산지천을 복원하는 ‘탐라문화광장’ 사업을 대대적으로 추진했다. 우근민 전 지사의 공약으로 출발한 이 사업엔 지금까지 4만5845㎡ 부지에 모두 565억원이란 막대한 예산이 투입됐다. ‘원도심 활성화’가 목적이었지만, 실속은 없이 허황된 구호에 그치고 있다는 것이 대체적인 평가다.

그 일환으로 2017년 12월 문을 연 ‘산지천 갤러리’도 사정은 마찬가지다. 이 갤러리는 탐라문화광장 부지 내 역사성 있는 건물 5채를 철거하지 않고 보존한다는 계획 아래, 여관과 목욕탕이 있던 금성장·녹수장을 하나로 연결 개설됐다. 탐라문화광장 조성사업이 ‘원도심의 기억’을 파괴하는 방향으로 흘러간다는 거센 비판에 대한 대응이었다.

이에 도는 3억원을 들여 건물을 리모델링하고 운영은 제주문화예술재단에 위탁했다. 원도심 활성화의 새로운 축으로 기능할 것이라며 큰 기대도 내비쳤다. 그러나 개관 8개월째로 접어든 산지천 갤러리는 ‘하루 방문객 20명’이란 초라한 성적표가 전부다.

이 같은 결과는 종합적이고 장기적인 계획은커녕 주먹구구식으로 운영하는 게 주원인으로 드러났다. 갤러리 운영진에 정식 큐레이터 등 전문가가 없고, 예산 또한 안정적으로 배정되지 않고 있다. 갤러리의 방향을 ‘사진전문’으로 한정한 것도 운용의 폭을 크게 좁힌 원인이 됐다. 기획 역량을 확보치 못해 연초 시작한 고(故) 김수남 기증사진 전시기간을 예정보다 늘린 것은 단적인 예다.

제주도는 그동안 문화예술을 통한 원도심 활성화를 위해 탐라문화광장을 비롯해 예술공간 이아, 산지천 갤러리 등의 각종 사업을 추진해왔다. 하지만 작금의 상황은 참혹할 정도의 실패작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원도심 활성화를 오로지 문화예술, 그리고 특정단체에만 기댄 결과다. 이제라도 무엇이 잘못됐는지 근원부터 꼼꼼하게 따져 개선책을 마련하는 등 ‘원도심 활성화’의 구도를 전면 바꿔야 한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