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시티(Smart City)는 발전된 정보통신 기술을 이용해 주요 기능을 지능형으로 네트워크화한 첨단 도시를 일컫는다. 기후 변화 등 도시화로 인한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최근 들어 세계적인 흐름이기도 하다. 정부는 세종시와 부산 에코델타시티 2곳을 국가 시범도시로 정하고 지원 전략을 마련하는 중이다.

이에 뒤질세라 제주특별자치도와 제주국제자유도시개발센터(JDC)도 ‘스마트시티’ 조성을 위해 박차를 가하고 있다. 도는 제2차 제주국제자유도시종합계획 수정계획, JDC는 제2차 시행계획을 통해 스마트시티 사업을 본격 전개해 나간다는 방침을 세운 것으로 알려졌다.

제주도의 전략을 보면 우선 사물인터넷(IoT) 기술을 이용해 도시의 모든 요소들이 연결될 수 있는 스마트시티 플랫폼을 구축키로 했다. 또 제주 현안을 유형별로 구분 시범사업 모델을 개발하고 각 권역별 시범사업을 도 전역으로 확산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공공 무선인터넷(WiFi 3363개)과 공공 위치기반센서(beacon 4800개소)를 확대 구축한 상태다. 이와 함께 현재 운영 중인 제주CCTV 관제센터의 기능을 고도화해 방범과 재난, 교통 등 다양한 도시상황을 통합 관리해 나가기로 했다.

이와는 별도로 JDC는 제주시 동부지역에 2021년 조성을 목표로 스마트시티 사업을 추진 중이다. 기본 콘셉트는 ‘에너지 분야에 특화된 친환경 생활공간’ 조성에 주안점을 뒀다. 영역은 업무와 공공, 주거 등으로 나눠 구성하고 단지 전체를 보행 중심으로 구축할 계획이다.

또한 민간기업과의 협업을 통해 비즈니스 모델도 발굴한다. 신재생에너지 발전 및 전력 중개 등의 분야에서 수익창출이 가능한 사업을 발굴해 민간기업과 공동으로 추진함으로써 실증단지의 지속가능한 운영 기반을 마련한다는 복안이다.

그러나 스마트시티 조성은 결코 쉽지 않은 일이다. 때문에 10년 전 각광을 받으며 추진했지만 결국 실패로 끝난 유비쿼터스 도시(U-City)의 시행착오를 되새겨야 한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당시 U-City가 실패한 원인으론 정부 주도와 신도시 중심, 기술여건 미성숙 및 투자예산 부족 등 다양했다. 하지만 전문가들이 꼽은 최대 요인은 ‘국민 및 시민과의 피드백 실패’였다.

현재 스마트시티 분야를 선도하는 나라는 미국이다. 성공 요인은 하나로 요약된다. 그것은 정부 주도의 전략보다 정부와 민간의 협조체계를 우선시 했다는 점이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