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범지역 상용화 전무한 상태
지자체 현실적 방안 도출 필요

제로페이 시범지역인 제주중앙로 지하상가를 찾아 활용실태를 확인한 결과 제로에 가까웠다.

제주도내 제로페이 시범지역을 찾아 상용화정도를 확인한 결과 거의 제로에 가깝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제로페이란 스마트폰을 이용한 간편 결제 시스템으로 이번 정부에서 소상공인들의 카드결제 수수료를 낮추기 위해 도입했다. 연 매출 8억원 이하의 소상공인은 결제 수수료를 전혀 내지 않아도 되고 초과한 사업장이라도 최대 0.5%의 수수료만 내면 된다.  

△ 사업자는 절반, 이용자는 제로
쇼핑객들이 서서히 늘어나기 시작하는 금요일 오후 중앙로 지하상가 내 상점들을 방문해 제로페이 결제가 가능한지 물었다. 그 결과 한 집 건너 한집에서만 결제가 가능하다는 답을 들을 수 있었다. 일부 상점은 설치 후 한 번도 사용한 적어 바코드를 구석에 치워놓기도 하고 일부 상인들은 사용방법조차 제대로 알지 못했다. 설치 당시 사용방법을 숙지했지만 오랫동안 사용하지 않아 잊어버렸다는 것이다. 제로페이 설치가 아예 안 된 상점 주인들은 대부분 제로페이가 뭔지도 모르는 눈치였다. 

아동복을 판매하는 박모씨(45,여)는 “제로페이로 결제가 가능하지만 현재까지 이용하는 사람이 한명도 없었다”며 “상인들에게 피부로 와닿는 게 전혀 없다”고 말했다. 쇼핑중인 시민들을 만나 제로페이에 대해 얼마나 아는지 물어봤지만 대부분 용어자체가 생소하다고 답하거나 알고 있어도 사용할 의사가 없다고 답했다. 

△ 소비자들이 체감하는 혜택 적어
액세서리를 판매하는 이모씨(51,여)는 “처음 (제로페이를 )설치할 때는 수수료가 없다는 말에 기대를 많이 했다”면서 “그러나 신용카드에 비해 혜택이 너무 적다는 사실을 알게 되면서 나도 거의 사용하지 않는다”고 말했다. 실제로 소비자들은 제로페이 사용분의 40%까지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지만 연 소득의 25% 초과분만 적용이 된다. 예를 들어 연소득 3000만원인 직장인의 경우 750만원을 초과 결제한 금액부터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다. 더군다나 현재 도내 제로페이를 상용화하는 상가가 2군데로 한정돼 있으니 이 곳에서만 750만원을 쓰라는 말이다. 아무래도 내년 2월 제로페이로 세제해택받기는 틀린 것 같다. 

 △ 일부 지자체 재량으로 혜택 확대
국내 일부 지차제는 이용혜택을 확대하기 위해 다양한 방안들을 마련하고 있다. 공공시설 이용시 제로페이로 결제할 경우 이용료를 할인해주거나 자치단체 업무추진비를 제로페이로 결제할 수 있는 방안도 추진하고 있다. 전국 편의점과 고속도로 휴게소에서도 결제시스템을 도입하고 각종 이벤트를 통해 제로페이 보급에 총력을 다 하고 있다. 제주에서도 새로운 제도가 안착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접근과 노력이 필요하겠다. 

중앙지하상점가조합 관계자는 “지난 1월 협조요청이 급하게 내려와 담당자가 일일이 상점을 찾아다니며 제로페이 사용법을 설명하고 설치를 도왔다”면서 “처음에는 상가에서도 환영하는 분위기였지만 정작 두 달이 지나도 전혀 사용이 안 되고 있어 상인회의 노력이 무용지물이 된 것은 아닌지 모르겠다”고 토로했다. 

올해부터 소상공인들의 결제수수료가 1%대로 경감되면서 상인들의 부담이 크게 줄었고 이로 인해 제로페이가 얼마나 큰 역할을 할지도 의문이다. 이미 한국인들의 결제패턴은 신용카드가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어 제로페이로 전세가 역전되지 않는 이상 상인들이 체감할 수 있는 효과는 미비할 것으로 보인다. 정부정책에 끌려 다니며 예산만 축내지 않기 위해서는 지자체에서도 현실적인 방안을 내놓아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