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 축적, 환경보존프로그램 개발
자원봉사단 구성 오염감시가 주된 일
목표는 자연보호구역 30%까지 확대

영국내에서도 가장 긴 해안선을 끼고 있는 켄트(Kent) 지방은 영국의 정원(Garden of England)이라고 불리며 천혜의 자연환경을 자랑하고 있다. 총 600km에 달하는 해안선과 맞닿아 있고 인근 해역 11곳은 해양야생동물 서식지로 지정됐다. 또 9개의 대규모 국가공원과 람사르 습지, 각종 보호구역 등이 고루 분포하고 있다. 본지는 이 지역의 대표적인 환경보호기관인 켄트야생보호국(Kent WildLife Trust)를 찾아 담당자인 조(Zoe)와 로라(Laura)를 만나 이야기를 나눴다. 

켄트야생보호국(Kent Wildlife Trust) 본부

△ 켄트야생보호국의 역할은?
켄트야생보호국은 현재 90여명의 직원들이 중앙본부와 3군데의 방문자센터를 운영하고 있다. 국가복권유산기금으로 운영되며 지자체의 보조금과 모금활동, 수익사업도 병행하고 있다. 야생보호국은 연중 자연환경을 모니터하고 데이터를 축적한다. 효율적인 환경보존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환경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관련 전문가 및 지역주민들과 상의한다. 또 지역주민들로 구성된 자원봉사단을 조직해 환경오염을 감시하고 정화사업을 벌인다. 

켄트지방 주변에는 6개의 공식적인 해양보호구역이 지정돼 있다. 켄트야생보호국은 해양보호구역 확대를 위해 정부를 설득하고 있다. 사진은 켄트지역 보호해안(The heritage coast)인 화이트 클리프(The White cliffs).

△ 해양보호를 위해 현재 진행하고 있는 사업은?
오는 2030년까지 켄트지역내 해양, 내륙을 포함해 전체 자연보호구역을 30%까지 확대하는 것이 우리의 목표다. 특히 켄트 주변 바다에는 많은 야생 생물이 서식하고 있지만 안타깝게도 남획과 오염 및 해양개발 등 외부 압력으로 인해 위협받고 있다. 또 정부는 11개의 권장 해양보호구역 (MCZ) 중 6개만 공식 지정한 상태다. 우리는 나머지 5개의 구역 역시 보호구역으로 지정될 수 있도록 정부를 설득할 것이다. 

켄트야생보호국(Kent WildLife Trust)에서 만난 조(Zoe)와 로라(Laura)

△ 보호구역확대에 따른 부작용은 어떻게 대처하는가?
자연보호구역 확대는 일방적인 규제로 재산권행사를 가로막는 방식이 아니다. 예를 들어 해당 구역에 대한 권리행사는 토지주에게 있지만 그것을 관리하고 더 나은 환경으로 만들어 주는 것이 야생보호국의 역할이다. 환경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거나 적절한 관리에 어려움을 느끼는 토지주들은 오히려 환영한다는 반응이다. 같은 토지일지라도 무자비한 개발로 인해 훼손되는 것보다는 친환경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도록 함께 방법을 모색한다. 잘못된 토지 운영방식으로 인해 훼손된 땅을 다시 건강하게 가꿔갈 수 있도록 야생보호국이 자문을 해주고 활용가치를 높일 수 있는 사업방향을 함께 검토한다. 주변 토지 또한 가치가 동반 상승하게 된다. 

대지가 아닌 해양보호구역 역시 비슷한 개념이다. 10여 년전 남부지역 해역에 금어구역을 설정하는 프로젝트가 진행됐다. 그곳 어부들의 조업방식과 구역을 규제함에 있어 반발이 있을 수밖에 없었다. 환경단체와 지자체는 과학적이고 신뢰할 만한 연구결과를 근거로 더 풍성한 어장이 형성될 수 있음을 증명했고 그곳 어부들과 원만한 합의를 이끌어냈다. 그 결과 어획량은 더 늘어나고 어류의 종류 또한 더 다양해지면서 어부들의 수입은 늘어났다. 이 프로젝트는 10년이라는 시간동안 순차적으로 진행됐고 그 결과 환경문제는 불편을 감소하는 것 만이 아니라는 인식의 변화를 가져왔다. 공공의 이익을 위해 소수의 희생을 강요하지 않는 것,  인내심을 가지고 긴 대화를 이어가며 양측 모두에게 유리한 상생의 길을 찾아내기 위해 부단히 연구하는 것, 이런 모든 과정들이 환경 문제를 안정적으로 풀어내는 해답이라고 생각한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