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성돈-서부농업기술센터

숨막히는 마스크와 얼어붙은 마음들처럼 세상이 삭막해져 가는 요즘이다. 코로나 19 이후 우리 사회는 사회적 거리두기가 강화되면서 극도의 불안감과 함께 새로운 반정을 요구하고 있다. 아울러 농업이 지닌 가치가 새롭게 조명되고 있다. 이는 미래가치인 녹색 성장에 있어서 농업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고 기여도가 크다는 사실이다.
지난 5천 년 우리 역사를 지탱한 산업은 농업이었다. 상업 및 공업의 비중이 커왔던 1960년대까지도 우리나라는 농업 사회였다. 그러나 지금은 빠르게 사회가 고도화되면서 농업 인구가 줄어들어 전체 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5% 내외로 줄어들었고 식량 자급률도 20% 내외를 간신히 유지하고 있다. 더군다나 고령화된 농촌에서 이제 아이들의 웃음소리를 듣기가 쉽지 않다는 것이다. 
농업이 새롭게 조명되는 이유 중 하나는 지구 온난화 속도를 완화시키는 완충 지대로서의 기능을 지녔기 때문이다. 작물을 재배함으로서 광합성을 통해서 대기 중 이산화탄소를 고정시킴은 물론 생명체를 유지하게 하는 산소를 배출할 뿐 아니라, 농경지에 퇴비와 같은 유기 자원을 활용함으로써 유기탄소를 저장하는 기능이다.
이에 대한 가치를 정확하게 평가하고, 더불어 어떻게 하면 농경지의 유기탄소 저장 기능을 증대시킬 수 있을까에 많은 관심과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포스트 코로나를 이야기하는 이유는 지금의 정국이 단순한 사태로 끝나지 않을 전망을 두고 있어서이다. 코로나 이전부터 모든 것이 위기인 시대였고 지속가능하다고 여겨지는 것들이 한계를 드러내고 있었다.
코로나 사태는 위기로 치닫는 시대에서 전환점을 촉진했을 뿐 지금 위기의 본질이 아니다. 지금 위기의 본질은 우리가 지켜야 할 것을 지키지 못했던 가장 취약한 부분이 무너지기 시작하여 전체가 무너지게 되는 상황이라는 생각이다.
지금의 문제의 원인을 지구온난화, 도시과밀화, 생태계 변화 등 다양한 측면에서 얘기들을 한다. 특히 4차산업 혁명이라는 얘기들을 많이 한다. 4차산업 혁명은 필요하다는 생각이다. 하지만 근본적인 목적인 생명의 문제를 놓치지 말아야 한다. 4차산업 혁명의 예로 신재생에너지를 둘 수 있다. 기술과 자본이 결합하여 지역순환을 염두에 둔 에너지자립과 생태보존을 원칙으로 해야만 대안으로서의 의미가 있는 것이다.
자연을 훼손하는 대체에너지라면 어떠한 것도 무한한 것이 없다. 생명을 근본으로하는 농업이야말로 '코로나 이후의 시대'의 위기를 극복할 일차적인 대안이라고 말하고 싶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