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impact of the contaminated school lunch is going nationwide. Some schools have delayed final exams and others have reduced school hours. Parents are also complaining about preparing a lunchbox because it happened so unexpectedly. Eventually, CJ Food Systems took responsibility for school food poisoning and decided to withdraw its school meal business.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students who have not been provided with school lunch since mass outbreak of food poisoning should allow schools to have more time to put food provision system under schools’ direct management or to find another food business company. This food incident showed that regardless of its size, any company can be cleared off from the market once it makes make a mistake concerning food. There was the case that a large Japanese company went out of business for its careless food management. It means that consumers never tolerate any mistakes in food safety. In this way, CJ company should cooperate to make schools’ food system back to normal as soon as possible because it cannot be free from responsibility for this incident only with its withdrawal. The government should seek effective ways to change school’s meal service system which is now consigned to certain food companies into direct one under its own management. To achieve this goal, school needs money for cooking equipment and wages for nutritionists and cooks. It is estimated that transforming 1,600 schools’ system costs 300 billion won at the start and 150 billion won every year, which is not little money. Nevertheless, given the fact that the money is invested for the future, this amount of money is not unreasonable. Principals who has been slow to transform school lunch operation with new equipment for the fear of potential responsibility for food incident are now also should take a forward-thinking attitude. Also six bills to amend the laws concerning school lunch which were languished by lawmakers must be discussed in depth at this special session of the National Assembly. This outbreak of food poisoning has a meaning in that it showed the freshness of ingredients are as important as that of cooked meals. Therefore, the follow-up measures to register businesses who provide food ingredients and to use farm products which are tested by the National Agricultural Products Inspection Center. Other advanced countries such as the U.S. and France have manuals on school meals and all the schools are exposed to thorough supervision of ingredients and cooking process. For them, sanitary conditions are considered most importantly. The government should take elaborate measures in order that food poisoning will never happen again in schools.

식중독 발 못 붙일 학교급식 대책 나와야

학교급식 파동이 확산되고 있다. 기말고사를 연기하거나 수업을 단축하는 등 학사일정에 차질을 빚고 있다. 느닷없이 도시락을 싸게 된 학부모들의 불만도 이만저만이 아니다. 급기야 이번 학교급식 파동의 당사자인 CJ푸드시스템이 학교급식 사업에서 손을 떼기로 했다. 이 때문에 급식 중단 사태는 직영급식 형태로 전환하거나 대체 업체를 선정할 때까지 시간이 더 필요하게 됐다. 이번 사태는 먹거리 사고를 내면 아무리 큰 기업이라도 시장에서 퇴출될 수 있다는 점을 보여줬다. 일본에서 식품사고를 일으켜 망한 기업이 있었는데 우리도 그런 시대가 온 것이다. 식품안전과 관련해 소비자들은 한 치의 실수도 용납하지 않는 것이다. CJ는 급식에서 손을 떼는 것만으로 책임이 면탈되지 않는다. 급식이 빨리 정상화되도록 협조해야 한다. 정부는 위탁급식을 직영급식으로 효과적으로 바꿀 수 있는 방안을 만들어 내야 한다. 학교가 급식을 직영하려면 조리 시설 설치비, 영양사. 조리사 등의 인건비가 새로 들어간다. 1600여 곳의 위탁급식 학교를 직영으로 바꾸는 데 처음에는 3000억원이 들고 매년 1500억원이 들 것으로 추정된다. 적은 돈은 아니다. 하지만 미래를 위한 투자라고 본다면 그리 큰돈이 아닐 수도 있다. 학교장들도 사고책임이 두려워 직영 전환에 소극적인 것 같은데 이제는 보다 전향적 자세가 필요하다. 국회도 법안심사도 제대로 하지 않고 방치해 놓은 학교급식 개선 관련 법률 개정안 6건을 이번 임시국회에서 밀도 있게 논의해야 한다. 이번 사태는 조리된 음식 못지않게 급식 재료의 안전성이 중요하다는 점을 보여 줬다. 자유업으로 돼 있는 식품재료 제공업을 신고제를 전환하고 우수농산물인증(GAP)을 받은 재료를 급식에 활용하는 방안을 고려해봄 직하다. 미국이나 프랑스 등 선진국은 학교급식 매뉴얼에 따라 재료에서 조리까지 철저히 관리한다. 맛보다 위생을 우선시할 정도다. 정부는 이번 사태를 계기로 다시는 학교급식에서 식중독이 발을 붙이지 못하도록 촘촘한 대책을 내놓아야 한다. <중앙일보 6월 27일 사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