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상규명 운동 30년에도 침묵하는 미국 ‘공론화 필요’
31일 ‘제주4·3모델 세계화 진실, 화해, 연대’ 제주포럼

ICC제주 백록홀에서 제주포럼 ‘제주4·3모델의 세계화 진실, 화해, 연대’ 세션이 진행되고 있다.
ICC제주 백록홀에서 제주포럼 ‘제주4·3모델의 세계화 진실, 화해, 연대’ 세션이 진행되고 있다.

제주4·3은 여러 얼굴을 가졌던 만큼 ‘사건’이라는 규정이 가장 중립적이고 안전한 것처럼 여겨질 수 있지만, 그 ‘사건’을 파고들어가 보면, 절대로 그 규정에 안주하지 못한다. ‘사건’을 빼고 ‘4·3’이라는 숫자로만 불리기도 하는 것은 4·3문제가 완결된 것이 아니라 현재 진행형이라는 것으로, 미군정 개입이라는 과오에 대해 미국이 상응하고 합당한 조치를 취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31일 제주국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제18회 제주포럼 ‘제주4·3모델의 세계화 진실, 화해, 연대’ 세션은 제주가 겪은 아픈 역사를 인류 역사의 한 페이지로 만들어 전 세계가 기억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자리다.

이날 ICC제주 백록홀에서 진행된 4·3세션에서는 알렉시스 더든 미국 코네티컷대학교 교수와 허호준 한겨레신문 선임기자, 이성윤 미국 터프츠대학교 교수, 진리 미국 우드로 윌슨센터 공공정책 연구원의 강연이 진행됐다. 이 자리에는 수많은 제주4·3희생자 유가족들뿐만 아니라 수십명의 일본인 학생들도 자리할 정도로 높은 관심을 끌었다.

허호준 기자는 “4·3문제 해결은 전환기의 정의의 실현과정”이라며 “진상규명과 수형 희생자들의 재심 청구와 무죄, 국가의 보상이 이뤄진다고 해서 이 문제가 완전히 해결된 것이 아니”라고 말했다.

허 기자는 “특히 미국의 책임 규명은 4·3문제 해결의 주요 과제 가운데 하나”라며 “진상규명 운동이 벌어진지 30여 년이 지났지만, 미국은 4·3의 시기의 직·간접적인 책임 문제에 대해 공식적인 반응을 보이지 않고 있다. 미국사회의 공론화 작업이 필요한 이유”라고 강조했다.

그는 또 “사건의 원인에 대한 사료 발굴과 분석도 필요하다”며 “원인을 규명하는 것은 4·3의 ‘정명’ 문제와도 맥락을 같이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4·3문제 해결 이후 과거 인권유린의 재발을 막고, 사회 통합과 평화를 도모하기 위해서는 미래 세대에 대한 교육은 필수”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