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현미-서귀포시 공보실

 

2014년 12월 터키에 살고 있는 무하렘 야즈안씨는 집 앞에서 만난 사람이 인사를 건네고, 동네 빵집 주인이 말을 건네고, 택시 아저씨가 “어서 오세요” 인사를 하니 울음을 터트렸다. 
너무나도 평범한 일상인데 왜 이 청년은 울음을 터트렸을까. 그건 바로 야즈안씨가 청각장애인이며 이들이 건넨 인사가 모두 수어였기 때문이다.
내가 사는 동네에서 나누는 특별할 것 없는 대화지만 평생 자신의 언어인 수어로 이웃과 대화한 적이 없었던 그에게 이 이벤트는 너무나도 특별한 선물이 됐다.
수어통역사인 나에게 “자막이 있는데도 수어가 필요하냐, 필담이 가능하지 않느냐”는 질문을 하는 경우가 많다. 수어는 수화언어의 준말로 손으로 표현하는 하나의 언어이다. 
즉 고유의 문법체계를 가지고 있다는 뜻이다. 당연히 한국어와 다르다. 
외국여행을 마치고 한국에 돌아왔을 때 곳곳에서 들리는 한국어가 편안하게, 또렷하게, 속시원하게, 정확하게 이해됐던 경험이 대부분 있을 것이다.  
수어가 모국어인 농인(수어를 사용하는 사람)에게도 마찬가지이다. 소리글자인 한글은 듣지 못하는 이들에겐 사용하기 어렵다. 
‘은/는, 이/가, 을/를’을 들음으로 인해 자연스럽게 구사하는 청인(청력이 있는 사람)과 달리 오로지 공부로 외워야하는 농인에게는 보이는 언어, 시각언어, 표정으로 감정을 전하는 언어, 조사가 없는 언어 바로 수어가 제일 속시원하고, 정확하고, 또렷하고, 편하다.
친절은 상대방을 만족하게 하는 자기표현이다. 상대방을 위해 내가 하는 표현인 것이다. 내가 편할 때, 내가 가능할 때, 내 상황에 따라서가 아니라 상대방 중심으로 해야 한다.
공직자의 경우 모든 시민을 대상으로 일을 해야 한다. 그 모든 시민에는 수어를 사용하는 농인도 포함돼 있다.
관공서를 비롯해 평생 이웃과 대화를 제대로 못하는 이들을 위해 그들의 언어인 수어로 대응해보면 어떨까.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좋습니다. 미안합니다. 우리에게는 잠깐의 한 마디이지만, 일상에 살면서 주위 사람과 편하게 대화하는 것, 그 평범하고 당연한 것을 평생 누리지 못하는 이들에게는 정말 따뜻하고 귀한 한 마디가 될 것이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