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재순 전 관장, 20일 제주학대회 전국학술대회서 기조발표
제주학연구센터, 내달 6일까지 제4회 제주학주간 행사 진행

제주특별자치도 제주학연구센터(센터장 김순자)는 20일 제주문학관에서 제7회 제주학대회 전국학술대회로 제4회 제주학 주간 행사를 시작했다.
제주특별자치도 제주학연구센터(센터장 김순자)는 20일 제주문학관에서 제7회 제주학대회 전국학술대회로 제4회 제주학 주간 행사를 시작했다.

지방정부시대 박물관, 도서관과 함께 기록관이 3대 문화창조기관으로 정립돼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또한 제주의 기록유산을 체계적으로 수집하고 보존하기 위해서는 중앙정부 소속의 국가기록원 분원과 제주도 소속 아카이브스 설립도 서둘러야 한다는 의견에 힘이 실리고 있다.

정부기록연구소 연구직 1호로 국가기록원 나라기록관장을 지낸 김재순 전 관장은 20일 제주문학관에서 제주특별자치도 제주학연구센터(센터장 김순자)가 주최하는 제4회 제주학주간 행사의 일환으로 열린 제7회 제주학대회 전국학술대회에서 제주아카이브스 설립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김 전 관장은 제주4·3수형인명부를 처음으로 발굴해 제주4·3 과거사 진상규명을 위한 새로운 전기를 마련했던 인물로 기록물을 물리적 관리와 더불어 기록물의 판독 능력의 중요성을 입증하는 산증인이기도 하다.

김 전 관장은 ‘제주인의 기억과 기록, 아카이브 구축의 중요성’을 주제로 한 기조발표를 통해 “1910년 이전 제주도기록유산은 서울대(규장각), 한국학중앙연구원(장서각) 등에 분산돼 있고 1894년 갑오개혁부터 최근까지 생산된 제주도 관련 기록물은 국가기록원에 보존돼 있다”면서 “제주권역 검찰기관, 경찰기관, 통계청, 관세청 등 중앙정부 소속기관들은 국가기록원으로 이관하고 제주도청 등 지자체 정부기관에서 생산되는 기록물은 제주도기록관 등에 산재돼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현행 공공기록물법을 개정해 제주도권역 중앙정부 소속기관의 기록물을 제주도 소속 기록관으로 이관할 수 있는 근거를 만들지 않으면 육지의 국가기록원 아카이브스시설에서 보존할 수밖에 없다”면서 “제주도는 국가기록원과 중장기 발전과제로 아카이브스 시설과 국가기록원 소속 권역별 아카이브스 시설이 협력하고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는 모델을 연구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김 전 관장은 독립건물을 신설해 운영하고 있는 서울기록관과 경상남도와 청주시의 기존 건물을 리모델링해서 운영하고 있는 사례를 소개하면서 아카이브스가 없는 제주에서 당장 실행할 수 있는 디지털 아카이브 방안에 대해 소개했다.

김 전 관장은 “제주도 홈페이지에 제주도 제주도기록원이나 제주도기록관이라는 메뉴를 만들어서 디지털 컬렉션 구축작업을 연례 사업으로 추진해야 한다”면서 “디지털아카이브에는 제주도 읍지와 한·일 행형기록, 역대 제주지사 등의 디지털컬렉션으로 사진이나 영상, 구술자료 등을 제공하면 제주도 아카이브 발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전국학술대회로 시작된 제주학연구센터의 ‘제주학, 기록으로 새기다’ 주제의 제주학행사는 오는 10월 6일까지 초청특강, 역사탐방, 제주어포럼 등 다양하게 열린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