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대 산학협력단, 전문 인력 등 강조
제주학생 중장기 정신건강 정책 ‘과제’
위기학생 안전망 확보 지원 체계 구축

제주도교육청 전경
제주도교육청 전경

제주지역 초·중·고 학생들의 정신건강 관심군과 위험군 비율이 늘면서 중장기적 정신건강 정책이 요구되고 있다.

2022년 제주도 청소년 생활 실태조사 결과 지난 1년 동안 월 1~2회 이상 ‘자살에 대한 생각’을 한 경우 5.8%, ‘자살을 계획해 본 적’이 있는 경우 1.9%, ‘자살을 시도해 본 적’이 있는 경우 0.6%로 나타났다. ‘자해 한 적이 있다’라고 응답한 청소년 비율은 10.6%다. 청소년 자해 경험은 2021년보다 3.0%, 자살 생각은 0.3% 증가했다. 보건복지부 자살예방백서(2022)에 따르면 청소년 자살률(인구 10만명당 명)은 세종(15.8명)에 이어 제주(14.1명)가 전국에서 두 번째로 높았다.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책임연구원 연준모 교수)이 교직원을 상대로 설문 조사한 결과 학생 교육안전망을 구축하기 위해 정서 행동 지도를 위한 법과 제도 마련, 전문 담당 인력 배치 확대, 심리정서 지원을 위한 정책 마련, 과중한 업무의 경감 필요 순으로 응답했다.

학부모들은 정서행동검사와 함께 교사의 관찰과 면담 평가 실시, 정서행동검사의 매년 실시, 정신건강 리터러시 교육의 교육과정 내 포함, 정신건강 상태의 데이터베이스화 등을 지지하고 있었다.

정서행동검사와 함께 적절한 관찰 및 면담 활용 방안과 학생 정신건강에 대한 정보를 데이터베이스화 하는 것은 교사와 학부모 모두 긍정적으로 생각했지만 일부 차이를 보이는 것은 교사 스스로가 감정노동자로 생각하면서 심각한 스트레스를 느끼고 있기 때문이다. 전국 교사 10명 중 6명이 우울 증상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학협력단은 “제주 학생의 정신건강 증진과 문제해결 및 관리를 위한 정책 방향 설정하기 위해서는 학생 정신건강을 위한 학교-가정-지역사회의 유기적 연계, 협력체계 마련이 요구된다”고 강조했다.

제주도교육청은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제주 학생의 정신건강 문제 예방, 조기발견, 조기개입-지원, 사후관리 등 위기학생 안전망 확보 및 체계적인 관리를 위한 학생 정신건강 통합관리 지원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