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 인구동향조사가 시작되면서 1971년 출산율 4.54명으로 최고에 달한 후 해마다 감소하면서 지난해 2~3분기에는 0.7명으로 떨어졌다. 광역자치단체 중 출산율이 가장 낮은 서울은 0.63명, 부산 중구는 0.38명을 기록하기도 했다. 출생아 수도 2022년 24만 9000여명으로 1971년 100만명대의 4분의 1 수준으로 떨어졌다. 
또한 2006년부터 2023년, 17년간 저출산 정책에 사용된 국가예산만도 380조원이라고 한다. 2022년 한해는 51조7000억원으로 17년 중 가장 많은 연간예산이 투입됐지만 그해 태어난 아이는 24만9000여명으로 가장 적었다. 투입된 예산만큼 출생아 수는 산술적으로도 늘어나지 못했다. 설마설마하던 국민들은 놀랐고 정부와 22대 총선을 앞둔 정치권도 출산율 대책에 본격적으로 나서는 모양새이다. 
이에 양당은 22대 총선 80여일을 앞두고 일찌감치 같은 날 지원정책을 발표했다. 국민의 힘은 ‘일·가족 모두 행복’을 위한 부총리급 인구부 신설을, 더불어민주당은 결혼과 출산, 양육에 필요한 주거를 자녀수가 늘수록 큰 평수의 공공임대주택을 제공하는 연간 28조원의 주거·재정 지원을, 정치권보다 일찍이 나선 인천시는 올해부터 신생아에게 만 18세가 될 때까지 총 1억원 지원한다. 
충북 영동군은 결혼, 임신·출산, 양육, 교육 등 4개 분야를 지원하는 ‘1억원 성장 프로젝트’도 발표했다. 17년간 역대 정부들이 예산 투입우선정책만으로는 이루지 못했던 소중한 ‘경험보석’과 사회의식변화인 ‘숨은보석’의 조화로 국민도 동감하는 정책을 만들어나가야 할 때이다. 
2023년 통계청 ‘사회조사’에 따르면 결혼에 대해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청년이 36.4%로 2년 전보다 감소했고 비혼 동거 결혼생활에 동의하는 청년은 80.9%로 증가했다. 결혼하더라도 자녀를 가질 필요가 없다고 생각하는 딩크족(Double Income No Kids, 맞벌이 무자녀 가정)도 절반이 넘는 53.5%로 늘어나고 있다. 1인가구가 증가하는 가족행태 변화만큼 우리 사회의식은 크게 변화하고 있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