또 다시 입도세(入島稅) 도입 추진으로 갑론을박하고 있다. 일명 ‘입도세’는 1990년대부터 불려왔다. 당시 관광 진흥을 위한 시대임에 따라 ‘관광입도세’로 불려지다가 사회적 이슈가 환경으로 변화하면서 ‘환경세’로 바뀌기도 했다. 그러나 조세 성격이 아닌 제주의 환경보전을 위한 사업비용을 ‘수익자 부담’ 원칙으로 해야 한다며 관광객이 분담하는 ‘환경보전분담금(이하 환경분담금)’으로 부르고 있다. 목적이 뚜렷하지 못하다보니 오락가락해 왔고 결과적으로 비용 부담은 관광객으로부터 전부 나오는 구조다. 
먼저 명칭에 대해 살펴볼 필요가 있다. ‘환경보전분담금’의 ‘분담금’이란 의미가 나눈다는 의미라면 관광객 입장에서 ‘분담금’이란 의미를 수용하기 어려운 일이다. 30여년전부터 도민의 입과 입으로 전해지던 입도세 도입 추진은 민선5기부터 민선8기인 현재까지 행정기관에서 추진해 온 정책이다. 하지만 아직 미완성의 연속이다. 성공적 완성을 위해서는 법률적인 완성 이전에 환경분담금에 대한 전 국민적 동의다. 
이를 위해서 제주 관광 이미지가 좋은 이미지로 바뀌어야 한다. 그러나 코로나 엔더믹 이후 제주 관광 이미지가 부정적 이미지로 변하는 사실을 도민들도 잘 알고 있다. 제주는 ‘물가가 너무 비싸다. 바가지도 심하다. 상인들이 불친절하다’는 등 관광객 입소문과 ‘제주 가느니 일본이나 동남아 가겠다’는 말도 들어야 하는 안타까운 현실이다. 이러한 현실 속에 대안없이 환경분담금을 관광객에게 부담하게 하는 것은 결과적으로 제주관광을 더 어렵게 할 수 있다. 그러니 제주도관광협회가 환경분담금 도입에 강력 반대하는 것은 당연한 대응일 수밖에 없는 일이다. 
또한 도내 여론은 물론 육지 여론은 더욱 부정적이다. 지난해 4월 ‘어플리케이션 서치통’이 5738명을 대상으로 ‘제주도 환경보전분담금 관련 여론조사’ 결과 73.8%가 환경분담금 도입에 반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도민이나 관광객 대상이 아닌 미래 제주관광객이 될 육지에 살고 있는 내국민 대상 여론조사이니 매우 의미있는 결과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