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지난달 12일 제주교육대학이 전체 교수회의를 열고 제주대학과의 통합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하기로 하면서 본격적인 통합 논의의 물꼬를 텄던 두 대학 통합문제가 또 다시 꼬이고 있다. 최근 제주교대 총동창회와 통합저지비상대책위원회에서 이에 반대하고 나섰기 때문이다. 제주교대 총동창회 등은 초등교육의 특수성과 정체성 약화, 지역정서와 재학생들의 반대 등을 이유로 두 대학 통합 작업을 반대하고 있다. 이에 앞서 제주대학 측은 제주지역 고등교육의 경쟁력 향상과 초등교육의 수월성과 다양성 등 질적 향상, 제주교대의 재정적 구조적 현실을 감안, 제주대학과 제주교대의 통합을 추진해 왔다. 우리도 본란을 통해 두 대학의 통합은 이미 세계적 추세가 되고 있는 대학 경쟁력 확보차원이나 정부가 추진하는 대학 구조조정 정책에 대한 대응 차원에서 불가피 하다는 의견을 제시한바 있다. 경쟁력 강화를 통해 대학 교육의 질과 서비스를 향상시키고 이것이 지역발전을 선도해야 할 지역 거점 대학이 지향해야 할 과제라고 여겨졌기 때문이다.

2

사실 제주대학과 제주교육대학의 통합논의는 지난 1990년대부터 꾸준히 제기되어온 과제였다. 그러나 논의의 상대 쪽 대학 구성원들의 반대로 아직까지 정리되지 않은 채 지역대학 사회의 쟁점이 되고 있는 것이다. 이런 과정에서 얼마전 교육부 대학구조 개혁단의 ‘국립대 법인화’ 등 대학 구조조정 작업이 진행되면서 제주대와 제주교육대학의 통합 문제는 시급히 해결해야 할 지역현안으로 등장하고 있는 것이다. 경쟁력에서 뒤쳐지고 일정 규모 이상의 교육기반을 확보하지 못한다면 도태될지도 모른다는 절박성에서 비롯된 것이다. 얼마 전 감사원은 제주교육대학에 대한 감사보고서에서 제주교육대학의 입학정원 적정규모는 60명선이라고 밝힌바 있다. 이는 제주교대 독자 생존여력과 관련한 의미 심장한 경고음이나 다름없다. 독자 생존이 어렵다면 어느 쪽으로 든 통합되거나 흡수될지도 모르는 일이다. 이런 상황까지 몰리기 전에 보다 유연한 자세로 통합논의를 시작해야 한다는 것이 우리의 생각이었다.

3

지금도 이러한 생각에는 변함이 없다. 자율적 통합 논의가 되지 않을 때 자칫 타율을 부르게 되고 그것이 호기를 놓치는 어리석음을 부를지도 모른다는 걱정 때문이다. 물론 통합 반대측이 주장하듯 교육대학의 전통과 정체성 약화 등에 대한 우려를 이해하지 못하는 바는 아니다. 그러나 그러한 전통과 정체성 확립이 무한 경쟁의 대학교육 현실을 압도할 수는 없는 일이다. “경쟁에서 살아남지 못하면 죽는다”는 엄연한 현실에서 언제까지 과거의 전통에만 연연해야 하는가. 작은 명분이나 관념적 소리(小利)에 집착하다가 더 큰 소중한 가치와 실체적 현실을 잃어버린다면 무슨 소용이 되겠는가. 따라서 우리는 두 대학의 입장을 이해하면서도 제주의 발전과 두 대학의 경쟁력 확보를 통한 더 큰 교육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진지하게 통합 논의를 다시 시작하라고 촉구하지 않을 수 없다. 지금은 특화된 전략으로 세계와 경쟁해야 하는 시대다. 대학이라 해서 예외가 아니다. 대학이 오히려 변화의 흐름을 선도해야 할 것이다. 두 대학의 통합논의를 다시 촉구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