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amendment to a medical law was submitted to the National Assembly’s Health and Welfare Committee on February 4. The National Assembly made no progress in its deliberations, however, apparently due to a considerable number of lawmakers conscious of the negative national sentiment that swept the country last year when the amendment was first introduced. The political calculations of these lawmakers may have them thinking that they do not want to irritate organizations which have raised objections to the amendment, or threatened to wage campaigns against it ahead of the National Assembly election in April. Now, these lawmakers are either getting rid of the controversial items in the amendment or attempting to suspend discussion on the issue. Whatever the reasons, it would be desirable for the National Assembly to handle this problem prudently.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said, “We hope this revision will pass the parliament because we have only included the essential elements so as to make things more convenient for citizens.” However there are a number of controversial things about the amendment, now known as Article 60, but which was listed as Article 61 when the ministry introduced it last year.

The current law prohibits people in the industry from enticing or providing referrals to patients. In connection with medical treatment that is not covered by insurance, however, the amendment does make such provisions for foreign patients. According to the government, this is aimed at attracting patients residing in foreign countries, including Korean citizens residing in the United States. Experts worry that the provision will make doctors and the nation’s wealthy citizens flock to large hospitals, which have a better chance of attracting patients from foreign countries, leading to increased medical polarization.

If this weren’t enough, there is a more worrisome part in the amendment that has stirred a controversy since its announcement. The amendment states that private medical insurers can negotiate fees for medical treatment and contract directly with hospitals for medical treatments that are not covered by insurance. The government has explained that the purpose of the provision is to encourage price competition among medical institutions and incite them to improve their services, but this could be dangerous.

If the revision passes the National Assembly, private medical insurance companies will have a status on par with that of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As soon as they are introduced, new medical technologies will become marketing targets for private insurance companies, not the NHIC. According to experts, this may lead people to believe that the services offered by these companies are of a high quality while those offered by the NHIC are not.

Such concerns may be unreasonable but the situation could become a reality amidst the widening gap in medical care. Lawmakers must remember this when discussing the amendment. It is certainly an issue not to be dealt with lightly.

의료법 개정안 섣부른 통과 안 된다

의료법 개정안이 어제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법안심사소위원회에 상정됐다.

이날 국회에서는 어떤 논의 진전도 이뤄지지 않았다.

상당수 의원들이 지난해 들끓었던 반대 여론을 의식한 때문으로 보인다.

총선을 앞둔 마당에 낙선운동까지 벌이겠다며 반발하는 보건의료 단체들을 굳이 자극할 필요가 있겠느냐는 정치적 셈법이 작용한 결과로 볼 수도 있다.

논의 내용도 조심스럽게 접근하는 모양새다. 논란이 큰 조항들을 법안에서 빼거나 논의를 유보하는 식이다.

이유가 어떻든 국회의 신중한 접근은 나쁘지 않다.

보건복지부는 이날 “이번 개정안엔 국민편의 차원에서 필요한 부분만 넣었다”며, 통과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하지만 이 개정안도 여전히 논란이 큰 조항을 적잖게 담고 있다.

개정안 60조가 대표적이다. 이는 지난해 복지부가 발표할 당시에는 61조였다.

현행 의료법은 누구든지 환자를 유인하거나 알선하는 행위를 금지하고 있다.

개정안의 60조 2항 2호는 건강보험의 적용을 받지 않는 비급여 부분에 대해서는 외국인 환자들을 알선·유치할 수 있게 허용했다.

재미동포 등 국외 환자를 유치하려는 뜻에서라는 게 정부의 설명이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국외 환자 유치가 가능하도록 유능한 의료진을 갖춘 대형 병원이 편법으로 비급여 진료를 국내 부유층에게 허용해 의료 양극화를 심화시키는 쪽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우려한다.

60조 2항 3호는 더 걱정스럽다. 발표 초기부터 논란이 된 것인데, 보험업법에 따른 민영 의료보험업자가 비급여 진료에 대해 병원 등과 직접 가격계약을 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현행법은 국민건강보험공단만 의료기관과 직접 가격 계약을 할 수 있도록 돼 있다.

의료기관 사이의 가격 경쟁과 서비스 개선을 유도하고자 둔 조항이란 게 정부의 설명이나, 위험천만한 조항이 될 수도 있다.

이 안이 국회를 통과하면 민영 의료보험 회사들은 국민건강보험공단과 비슷한 위치에 서게 된다.

신의료기술은 도입되자마자 건보공단이 아닌 민영보험사의 영업 대상이 돼, 나중엔 이들 보험사가 다루는 서비스는 고급, 건강보험이 다루는 건 저급이라는 인식이 형성될 수도 있다고 전문가들은 말한다.

이런 걱정들이 지나친 것일 수도 있지만 가뜩이나 의료 불평등이 심화되고 있는 우리 현실에선 기우만은 아니다.

국회는 이 점을 새겨 충분한 논의를 해야 한다. 섣불리 통과시켜서는 안 될 일이다.

[한겨레사설 2.4]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