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phenol scare has again hit an area around the Nakdong River. The day before yesterday, phenol was detected in the river water near Gumi, North Gyeongsang Province, and tap water was not supplied to some parts of Gumi and Chilgok for a while. Residents in Daegu and other areas nearby worried that they also could be affected by the leak of the toxic chemical. The leak was presumed to have taken place as a fire was being extinguished at the Kolon Chemical factory in nearby Gimcheon. If fire fighters had been a little more careful in the process of extinguishing the fire, it is likely they could have prevented it.

The nation has already experienced how carelessness and a seemingly trivial accident in and around the water supply can cause a serious disaster Seventeen years ago, phenol was leaked from Doosan Electro-Materials Co., a factory in Gumi, North Gyeongsang Province. The leaked phenol flowed into the Nakdong River and residents of Daegu, who drank the phenol-infused water, suffered from vomiting and stomach aches. The accident caused confusion in the region around the river and the water supply to nearby areas was cut off. Since then, the government has invested approximately 30 billion won on policies to protect the water source and enacted a special law on the nation’s four largest rivers. However, the recent fire has revealed the loophole in these policies.

The significance of this, most recent, chemical leak is more than just a reminder of the importance of managing pollutants in areas around our water sources. More importantly, the accident is a warning against the new president’s “grand canal,” a series of man-made waterways connecting Seoul to Busan. If a canal is constructed, freighters that discharge pollutants just by floating on the water will travel over the water supply. There is one oil spill a day on the open sea, indicating that such accidents may be more likely to occur in the narrow canal. If just 0.1 percent of the oil spilled from the Hong Kong-registered oil tanker Hebei Spirit, in the incident that occurred off the Taean coast late last year, were to leak into the canal, the effect would be that much more serious. If there is contamination in Gumi, the citizens of Busan won’t be able to access the water supply.

Because of this, President Lee Myung-bak’s administration has washed its hands of any disputes over the quality of the water. They once said that the operation of ships would improve the water quality. Instead, they have proposed that separate dams be constructed or that the river water be filtered as a way of resolving the water problem. However, when President Lee was still the mayor of Seoul,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conducted a feasibility study on the proposed cross-country canal and reached the conclusion that the idea was not economically efficient.

If water collecting in the canal becomes contaminated, and people living along the river can’t have access to water that is adequate, from where will the people find it? Water is like life. We are urging the government not to gamble at the risk of people’s lives.

페놀 오염이 보여주는 ‘대운하’의 미래

낙동강 주변 지역에 다시 페놀 공포가 엄습했다.

엊그제 경북 구미 광역취수장 상류에서 페놀이 검출돼, 구미와 칠곡 일부 지역에 수돗물 공급이 한동안 중단된 것이다.

대구 등 중·하류 지역 주민들도 긴장을 풀지 못했다.

사고는 김천의 코오롱유화 공장에서 난 불을 끄던 중 페놀이 소방용수에 섞인 채 흘러나가 발생했다.

불을 끄는 동안 조금만 대비를 했으면 피할 수 있는 사고였다.

상수원 지역에서 생긴 이런 사소한 사고와 부주의가 얼마나 큰 재앙을 부르는지는 이미 17년 전 경험했다.

경북 구미시 두산전자에서 발생한 페놀 유출 사고가 그것이다.

누출된 페놀은 낙동강으로 흘러 들어갔고, 페놀이 섞인 물을 정수해 마신 대구 주민들은 구토·복통 등을 일으켰다.

그 여파로 부산까지 취수가 중단되는 등 낙동권 중·하류 지역이 일대 혼란에 빠졌다.

이후 정부는 30조여원을 들여 상수원 보호를 위한 각종 대책을 마련했고, 4대강 특별법도 제정했다.

그러나 이런 대책은 화재 사고 한번에 바로 구멍이 뚫렸다.

이 사고의 의미는 다시 한번 상수원 주변에서 오염물질 관리의 중요성을 상기시켰다는 데 그치지 않는다.

더 중요한 것은 한반도 대운하에 대한 경고다.

운하가 뚫리면, 떠 있는 것만으로 오염물질을 배출하는 화물선이 수없이 수돗물 원수 위를 오간다.

너른 바다에서도 기름유출 사고가 하루에 1건씩 발생한다. 좁은 운하에서 그런 사고 위험성은 더 크다.

만약 허베이 스피리트호가 유출한 기름의 0.1%만 유출한다고 해도, 그건 대재앙이다.

게다가 운하의 물은 갑문으로 가둬지기에 재앙은 장기화·광역화된다.

구미에서 오염 사고가 나면 부산까지 취수를 할 수 없다.

그 때문에 이명박 정부도 수질 논란에선 슬그머니 발을 뺐다.

이들은 한때 배 운항이 수질을 더 좋게 한다는 해괴한 말을 하곤 했다.

대신 취수 문제를 해결할 요량으로 별도의 상수원댐 건설이나, 강변 여과수 등 간접취수 방식을 제안했다.

그러나 이명박 서울시장 시절 타당성 조사를 한 서울시는, 취수량이 적어 활용가치도 경제성도 없다고 똑 부러지게 결론을 냈다.

운하에 고인 물은 썩어 가고 강변에선 극소량만 취수할 수 있다면, 국민은 어디에서 물을 구할 것인가. 물은 생명이다.

국민 생명을 판돈 삼아 결과가 뻔한 도박은 하지 말자.

[한겨레사설 3.3]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