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re is a deepening global concern about China’s recent bloody crackdown on protesters in Tibet. According to foreign media reports, around 40 institutions were confirmed to have been damaged, with some 30 people dead. Anger and rebellion among Tibetans are sizzling more than ever against the Chinese government’s crackdown. It is distressing to see no near end to the vicious cycle of the independence movement’s attempts to be heard and armed crackdowns following China’s annexation of Tibet.

The Chinese government should immediately give up its forceful means of responding to the protests and rather try to resolve the issue of Tibetan autonomy with dialogue. Some insist on Tibet’s independence, but that seems to be a tall order considering Beijing’s insistence on holding the region under its wing using all possible means. Such arguments for immediate independence do not help to ease the current tension. Tibet is a very important strategic region for China in terms of its relations with India, a key rival competing for hegemony in Asia. Tibet also has a tremendous amount of natural resources. In addition, any moves toward independence in Tibet could stir up a similar sentiment among China’s 55 other ethnic minorities. China knows this very well, and it was the reason why Beijing clamped down on two previous uprisings for independence in the region. In the first, a demonstration in 1959 that took place when the government-in-exile was established in Dharmsala, India, sources said that around 100,000 people died. In the second, Hu Jintao, who was at the time the party chief for Tibet, led a crackdown on a protest in 1989.

As if taking such complicated situations into consideration, the Dalai Lama, Tibet’s spiritual leader, opted for a more practical request: autonomy, rather than political independence. He once asserted that he is not a separatist and just wants Tibet to gain autonomy. Despite his request, however, the Chinese government has ratcheted up its oppression of Tibetans. It has even intensified its crackdown on Buddhist leaders, including the Dalai Lama, in order to distance them from the general public, and has continued work to include Tibet in its own history. At the same time, the Beijing government has forced people to move to Tibet en masse as part of colonization efforts. All in all, it has continued to trample on the dignity of Tibetans. The most recent incident has stemmed mainly as a reaction to the same kinds of oppressive measures taken by the Chinese government, which sets it apart from the previous two uprisings.

As China argues, there are some foreign factors, including those who want a divide in China, which could have played a role in causing the current situation. Indeed, anti-Chinese sentiment is rising in many countries as Beijing has begun accelerating its preparations for the Olympics in August. However true those arguments may be, China cannot justify its cruel crackdowns on protests in Tibet, which do not allow for its autonomy, let alone its independence. Against this backdrop, China will not become a respected world nation, even if it holds the Olympics over and over again.

티베트인 자치권 보장이 순리다

티베트 사태에 대한 국제사회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확인된 것만 해도 주요 기관 40여 곳이 불타고, 30여명이 숨진 것으로 외신이 전한다.

중국 정부의 유혈진압에 대한 티베트인의 분노와 저항의식이 들끓고 있어, 언제 어디서 대규모 충돌과 인명피해가 발생할지 모르는 상황이라고 한다.

제국주의적 병탄에서 비롯된 독립봉기와 무력진압이 되풀이되는 악순환이 안타깝다.

중국 정부는 무력진압을 포기하고, 티베트의 자치 문제를 대화로 풀어야 한다.

즉각적인 독립을 촉구하는 주장도 있지만, 어떤 희생을 치르더라도 티베트의 독립은 불허하겠다는 중국 정부의 태도를 고려할 때 비현실적이다.

유혈사태를 막는 데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

티베트는 아시아의 패권을 각축하는 인도와의 관계에서 전략적 요충지다.

매장된 자원 또한 풍부하다.

게다가 티베트의 움직임은 다른 59개 소수민족을 자극할 게 자명하다.

그 때문에 중국 정부는 이미 두 차례나 티베트 독립봉기를 철저하게 무력으로 진압했다.

1959년 봉기 땐 10만여명이 희생됐다고 한다.

인도 다람살라의 티베트 망명정부는 그때 세워졌다.

89년 봉기 때는 당시 티베트자치구 서기였던 후진타오 주석이 무력진압을 지휘했다.

이런 상황을 고려한 탓인지, 티베트인의 정신적 지도자 달라이라마도 정치적 독립 대신 자치권을 요구하는 현실노선으로 돌아섰다.

그는 “(나는) 분리주의자가 아니다.

티베트인에 의한 자치를 원할 뿐이다”라고 말하기도 했다. 그렇지만 중국 정부는 오히려 강압정책의 수위를 더 높였다.

달라이라마 등 승려 지도자들을 대중들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 불교탄압 정책까지 강화했다.

‘서북공정’이라 하여 티베트 역사를 중국 역사 속에 편입시키는 작업도 했다.

여기에 한족을 티베트로 이주시키는 대규모 식민정책까지 펼쳤다.

티베트인의 자긍심을 거듭 짓밟았던 것이다.

이번 사태는 과거 두 대규모 독립봉기와 달리 이런 강압정책에서 비롯된 바 컸다.

물론 중국 정부가 주장하듯이 중국의 균열을 추구하는 외부의 힘도 의심해볼 수 있다.

실제 베이징 올림픽을 앞두고 세계 각국에서 반중 시위가 잇따른다.

하지만 이것이 사실이라 해도, 자치권조차 허용하지 않으려고 유혈진압을 일삼는 행위를 정당화할 수는 없다.

그래서는 올림픽을 백번 하더라도 존경받는 나라가 될 수 없다.

[한겨레사설 3.16]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