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ormer President Kim Dae-jung is no longer with us. Ever since he began his difficult battle with illness, he steeled himself for this day to come eventually, but that day came too soon. Now even the earnest prayer that he might dust himself off, get out of his sickbed and remain with us as a light in a bewildering age has come to nothing. The country and the Korea people still need him desperately, but he has left forever on a road from which he cannot return. With two former presidents gone in the space of just a few months, there are no words to describe the grief suffered by those left behind.

 He was a giant who stood tall in Korea‘s modern history. Throughout his life, he devoted himself unwaveringly to this nation’s democracy and human rights, its peace and unification. The modifiers placed next to his name may have changed from time to time, from democracy fighter to opposition party head to president, but the values and spirit he pursued remained the same. Along the way, there were both successes and failures, and he went through some trial and error himself. But he was the rare politician who walked one path without wavering, through countless twists and turns of history, through whirlpools, hardship and honor.


 He was a leader who knew how to go beyond the trends of the times and take a broad view of history. He was also a leader who stood a step ahead of the times and constantly examined the future of the Korean people and the path ahead of them. Since his times as a dissident and as an opposition party politician, he stoically bided his time, fine-tuning his policy conception, and after he became president, he worked to make it a reality. Because of him, democracy in Korean society became more mature, and the horizons of human rights and welfare grew even broader. It was only during his time as leader that inter-Korean hostility, frozen solid for half a century, finally began to thaw. The scene in 2000 of him and North Korean leader Kim Jong-il in Pyongyang, clasping hands and pledging a peaceful future for the Korean people, is an emotional moment that will forever remind in our minds. It was the precious fruit of his consistent determination and conviction that the way for the Korean people to survive was not through confrontation but conciliation, not hostility but cooperation. With this summit meeting, South and North Korea began writing a new history for the peninsula.


 He devoted more profound attention and passion than anyone else to the lowest reaches of society, the people who have suffered unjustly and bitterly. That our society went on to develop laws and institutions to offer greater consideration toward our neglected neighbors also owes a lot to him. His policies to respond to the demands of a changing society will go down in history as a precious asset to all of us, including the establishment of the Presidential Truth Commission on Suspicious Deaths and the National Human Rights Commission, the enactment of the Act on Compensation and Restoration of Honor of Persons Involved in the Pro-Democracy Movement and the National Minimum Livelihood Protection Law,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Ministry of Gender Equality.


 His burning passion did not cool for a moment even as his life came to an end. Indeed, it burned even more brightly, like the last candle. As this nation‘s democracy, to which he dedicated his entire life, was once again in jeopardy and inter-Korean relations were racing toward unprecedented crisis, he brought his aged and infirm body once again before the public and made a sincere appeal. Let us bring back democracy, he said. Let us save the working class economy and improve inter-Korean relations once again. He urged awakening among the citizens, telling them that “a conscience that does not act is on the side of evil.” The topic of the last speech he prepared just before he passed away was the peaceful resolution of problems in inter-Korean relations. In a speech he was invited to give for the European Union Chamber of Commerce, he called on United States President Barack Obama to “make the courageous determination to put an end to antagonistic relations with North Korea.” It was none other than the late former President Kim Dae-jung who fought most fiercely to bring back democracy and restore inter-Korean relations even as he battled the demon of illness.


 Of course, he was neither a perfect human being nor a flawless politician. A number of dark shadows hang over his long political journey. He was a victim of the chronic regionalism that afflicts Korean society, but at the same time he could not escape criticism that he was a factor in it as well. Nor can he escape comments that he delayed advancement of the political culture with factional politics, boss politics and monarchical party management. Late in his term as president, his ethical reputation suffered a blow due to improprieties involving his sons and associates. While he was alive, he faced criticisms as much as praise. He was the target of both more centrist conservatives and hard-right forces, whose persistent attacks continued right up until his condition grew serious. Bernard Krisher, former Tokyo correspondent for the U.S. current affairs weekly Newsweek, said that only when Kim died would the Korean people realize what a great debt they really owe to him. Now the true judgment of his life and accomplishments is left to history.


 He is gone now. Gone forever, without getting to see democracy in fuller flower and peace flowing like a river between South and North. The task of realizing the dreams and hopes he could not is left now to others. Before being taken to the hospital, he said, “This nation’s democracy, the working class economy and inter-Korean relations are all in crisis. Now I am old and have no strength. What can I do?” It is now we who must answer his question.


 We once again lament the passing of former President Kim Dae-jung deep in our hearts and offer our earnest prayers for his happiness in the next world.

큰 자취 남기고 떠난 우리 시대의 거인

 김대중 전 대통령이 기어이 우리 곁을 떠났다. 그가 병마와

힘겹게 싸울 때부터 언젠가 이런 날이 오리라고 각오는 하고 있었지만 그날은 너무 일찍 왔다. 병상에서 훌훌 털고 일어나 이 혼미한 시대의 등불로 남아 달라는 간절한 기원도 이제 허사가 되었다. 아직 이 나라와 겨레는 그를 절실히 필요로 하고 있는데도 그는 돌아오지 못할 길로 영원히 떠나고야 말았다. 노무현 전 대통령에 이어 몇 달 사이에 전직 대통령을 두 명이나 잃어버렸으니, 남아 있는 이들의 비통한 마음 형용할 길 없다.

고인은 우리 현대사에 우뚝 선 거인이었다. 그의 한평생은 이 땅의 민주주의와 인권, 평화와 통일을 향한 불퇴전의 정진이었다. 때로는 민주화 투사로, 때로는 야당 대표로, 때로는 대통령으로, 고인 이름 앞에 붙은 수식어는 수시로 변했지만, 그가 지향하는 가치와 정신은 한결같았다. 이 과정에서 성공도 있었고, 실패도 있었다. 스스로 시행착오를 겪기도 했다. 하지만 수많은 역사의 굴곡과 소용돌이, 고난과 영광 속에서도 그는 흔들리지 않고 한길을 걸은 보기 드문 정치인이었다.

그는 당대의 시류를 넘어 역사를 폭넓게 조망할 줄 아는 지도자였다. 시대에 한발 앞서 겨레의 미래와 나아갈 길을 끊임없이 연구한 지도자이기도 했다. 재야 혹은 야당 시절부터 그는 인고의 세월을 견디며 자신의 정책구상을 다듬었다. 그리고 대통령에 오른 뒤 이를 실현하려 애썼다. 그로 말미암아 우리 사회의 민주주의는 더 성숙해졌고, 인권과 복지의 지평은 한층 넓어졌다. 반세기 동안 얼어붙어 있던 남북 간의 얼음장은 그의 시대에 들어서야 비로소 풀리기 시작했다. 2000년 평양에서 고인과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손을 맞잡고 한민족의 평화로운 미래를 기약하는 장면은 우리의 뇌리에서 영원히 잊히지 않을 감동의 순간이었다. 그것은 대결이 아닌 화해, 반목이 아닌 협력만이 겨레의 살길이라는 그의 일관된 의지와 신념이 거둔 값진 결실이었다. 남북은 이 정상회담을 기점으로 한반도의 새로운 역사를 써나가기 시작했다.

그는 누구보다도 사회의 낮은 곳, 억울하고 한 맺힌 사람들을 향해 깊은 관심과 애정을 쏟았다. 우리 사회가 소외된 이웃을 더욱 배려하는 법과 제도를 발전시켜 나가게 된 것도 그에게 힘입은 바 크다. 의문사진상규명위원회와 국가인권위원회 설치, 민주화운동 관련자 명예회복 및 보상 등에 관한 법률 제정, 국민기초생활보장법 제정, 여성부 설치 등 변화하는 시대의 요구에 부응하는 정책들은 우리의 값진 자산으로 기록될 것이다.

그의 뜨거운 열정은 삶이 끝나는 순간까지도 식을 줄 몰랐다. 오히려 마지막 촛불처럼 더욱 찬연했다. 평생을 몸바친 이 땅의 민주주의가 다시 위협받고, 남북관계가 전례 없는 위기로 치달으면서 그는 늙고 병든 몸을 이끌고 다시 대중 앞에 섰다. 그리고 간곡히 호소했다. 민주주의를 되돌리고, 서민경제를 살리고, 남북관계를 다시 개선하자고. “행동하지 않는 양심은 악의 편”이라며 시민들의 각성을 촉구했다. 타계하기 직전 준비했던 마지막 연설의 주제도 남북관계의 평화적 해결 문제였다. 그는 유럽연합 상공회의소 초청 연설문에서 “버락 오바마 미국 대통령은 북한과의 적대관계를 종식시키는 용기 있는 결단을 내려야 한다”고 촉구했다. 병마에 시달리면서도 민주주의의 회생, 남북관계의 복원을 위해 가장 치열하게 싸운 사람은 다름 아닌 고인이었다.

그는 물론 완전한 인간도, 흠 없는 정치인도 아니다. 그의 오랜 정치 역정에는 숱한 어두운 그림자도 드리워져 있다. 그는 우리 사회의 고질인 지역주의의 희생자이기도 하지만 동시에 원인 제공자라는 비판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계파 정치, 보스 정치, 제왕적 정당 운영으로 정치문화의 발전을 지체시켰다는 지적도 피할 수 없다. 대통령 임기 말에는 두 아들과 측근들의 비리로 도덕성에 타격을 입었다. 살아서 고인은 칭찬 못지않게 각종 비판에도 시달렸다. 그는 수구 보수 세력의 공통된 표적이었다. 이들의 집요한 공격은 그의 병세가 위중해지기 직전까지도 계속됐다. 미국 시사주간지 <뉴스위크> 도쿄특파원을 지낸 언론인 버나드 크리셔는 이렇게 말했다. “김대중씨가 죽고 나면 한국인들은 그때 가서야 그에게 정말 큰 빚을 지고 있다는 사실을 깨닫게 될 것이다.” 그의 삶과 업적에 대한 진정한 평가는 이제 역사의 몫이 되었다.

그는 이제 떠났다. 민주주의가 더욱 활짝 피어나고, 남북 간에 평화가 강물처럼 흐르는 모습을 보지 못한 채 영영 떠났다. 그가 못다 이룬 꿈과 희망을 실현하는 일은 남은 이들에게 넘겨졌다. 그는 병원으로 옮겨지기 전 이렇게 물었다. “이 나라의 민주주의와 서민경제, 남북관계가 모두 위기입니다. 이제 나는 늙었고 힘도 없습니다. 어떻게 해야 합니까?” 이제 이 물음에 답해야 할 사람은 바로 우리 자신이다.

김대중 전 대통령의 서거를 다시 한번 가슴 깊이 애도하며 고인의 명복을 두 손 모아 빈다.

[한겨레사설 8/18]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