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ne cannot help but express regret over the fact that the disappearance and death of six South Koreans in Imjin River flood waters could have been prevented if only there had been advance notification from North Korea. North Korea’s conduct runs counter to the 1971 Declaration of Asuncion on the Use of International Rivers, which calls on members to do other countries no harm when using international rivers and to cooperate with one another in the development and use of water resources. It also runs counter to a 1997 accord on the non-navigational use of international rivers. North Korea must take steps to sufficiently explain what happened and cooperate in order to prevent another disaster like this from occurring in the future.

The South Korean government must also be held accountable. Even if North Korea suddenly released a lot of water from their dam, the response by relevant South Korea’s authorities had been poor. First, although South Korea’s military authorities learned of the situation and had sufficient time to prevent casualties, they failed to convey relevant information to civilian bodies. We are simply appalled by the explanation of military authorities that their role is to prevent North Korean incursions, and Yeoncheon County, the Han River Flood Control Office and other water resource management authorities are responsible for flood prevention while the police and local governments are responsible for alerting civilians of disasters. This explanation is nothing more than an extreme display of self-preservation, where the military is more engrossed in avoiding responsibility than in protecting the lives of citizens. One cannot easily dismiss the fact that the expensive automated flood warning system failed to operate as well. It would not be excessive to say that the relaxed attitude in which the system was not regularly checked stole the lives of South Koreans.


Some quarters of the government and society are expressing the opinion that the flood was intentional on the part of North Korea or represents a “water attack.” This is excessive, especially when there is no proof North Korea did this intentionally and when the fundamental duty to prepare for emergencies and protect its people rests with South Korea. If you consider that inter-Korean relations have worsened greatly since the launch of the Lee Myung-bak administration and that the plain of the Imjin River floods often, government authorities, including the military, should have been prepared more thoroughly prepared for emergency situations.


The South Korean government must squarely face that as long as it fails to build an inter-Korean system of cooperation, matters like these could repeat at any time. Inter-Korean authorities have discussed the issue of flooding on the Imjin River continuously since the June 15, 2000 inter-Korean summit, and in 2004, an agreement on flood prevention on the Imjin River had been reached. As inter-Korean relations worsen, this agreement has become nothing more than a scrap of paper. To fail to look at this incident in the big picture of inter-Korean relations and to respond to it emotionally and in a piecemeal manner will just make it worse.

남북협력 중요성 부각시킨 ‘임진강참사’


갑자기 불어난 임진강 물로 우리 국민 6명이 사망·실종한 사건은 북쪽의 사전 통고만 있었어도 막을 수 있었다. 북쪽에 유감을 표시하지 않을 수 없다. 북쪽의 처사는 수자원 개발·이용에서 관련국이 서로 협력하고 공유하천 이용 때 다른 나라에 피해를 주지 않도록 규정한 1971년 ‘공유하천 이용에 관한 아순시온 조약’ 등의 정신에도 어긋난다. 그나마 북쪽이 어제 사고 경위 설명과 재발 방지를 촉구하는 우리 쪽의 전화통지문을 전달받고, 재발 방지 노력을 하겠다는 내용의 답신을 신속하게 보내온 것은 불행 중 다행이다.

그렇다고 해서 우리 정부의 책임이 가벼워지는 것은 아니다. 북쪽이 갑자기 많은 양의 물을 방류했다고 하더라도 당국의 대응은 매우 부실했다. 먼저 군은 피해를 막을 정도로 일찍 상황을 파악하고도 민간 기관에 정보를 전달하지 않았다. 홍수 대비는 수자원관리본부와 연천군청, 한강 홍수조절통제소에서, 민간인 통제는 경찰과 지방자치단체에서 하며 군 초병의 역할은 북한군 침투를 막는 것뿐이라는 군 당국의 설명은 기가 막힐 뿐이다. 지켜야 할 국민의 생명보다 책임 면하기에만 급급한 보신주의의 극치다. 많은 돈을 들여 설치한 홍수 무인자동경보 시스템이 작동하지 않은 것도 그냥 넘길 수 없다. 작동 여부를 정기적으로 점검하지 않은 무사안일이 국민의 생명을 앗아간 원인이라고 해도 지나치지 않다.

정부와 사회 일각에선 북쪽의 ‘의도적 방류’니 ‘수공’이니 하는 의견도 나오고 있다. 하지만 북쪽의 설명이나 돌발 상황에 대비해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는 것이 정부의 기본 의무라는 점을 생각하면 지나친 주장이다. 더구나 이명박 정부 들어 남북관계가 크게 나빠졌고 임진강 수역이 수해 상습지역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군을 비롯한 정부 당국은 그 어느 때보다 더 철저하게 대비했어야 마땅하다.

정부는 남북 협력체제를 구축하지 않는 한 이런 일이 언제든 재발할 수밖에 없음을 직시해야 한다. 남북 당국은 2000년 6·15 정상회담 이후 임진강 수해 문제를 꾸준히 논의해왔고, 2004년엔 ‘임진강 수해방지와 관련한 합의서’를 체결하기에 이르렀다. 남북관계가 악화하면서 이런 합의는 휴지가 됐다. 감정적·단편적으로 대응해서는 안 되는 이유다. 정부는 이번 사건을 큰 틀에서 보고 대처해 전화위복의 계기로 삼길 바란다.

[한겨레 사설 9/7]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