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해양경찰청 신설, 이미 늦었다

사라져 가는 자연산 오분자기

 ‘오분자기’는 소라-전복-보말 등과 더불어 제주 해산물 중 대표적인 패류(貝類)다. 1960년대까지는 비록 해녀가 아니더라도 제주 바다 어디를 가든 바위틈에서 자연산을 어렵지 않게 잡을 수 있었던 것이 바로 오분자기였다.
 그 흔하던 자연산 오분자기가 점차 사라지기 시작한지가 이미 오래 되었다. 특히 최근 15년 이래 오분자기 감소 현상이 더욱 뚜렷해지고 있다니 앞으로 몇 10년 가지 못해 완전히 사라지지 않을까 걱정이다.
 해양수산연구원의 조사에 의하면 1995년 제주도내 자연산 오분자기 생산량은 159t이었다. 이것이 2000년에는 35t으로 줄었다가 2010년에 이르러서는 13.9t으로 급감해 버렸다. 5년 단위로 갑절 이상, 15년 전과는 무려 10배 이상이나 줄어든 것이다. 이러한 감산(減産) 추세라면 제주바다에 자연산 오분자기가 자취를 감출 날도 그리 멀지만은 않을 것 같다.
 제주명물인 오분자기가 왜 이렇게 심각할 정도로 줄어들고 있는 것일까. 거기에는 물론 여러 가지 원인이 있을 줄 안다. 기후 온난화로 인한 수온 상승, 환경오염, 그리고 이러한 바다 여건의 변화에 따른 백화(白化)현상에 의한 먹이 부족, 남획 등이 주원인일 지도 모른다.
 해양수산 연구원은 이에 대한 대책의 일환으로 ‘마을 어장 오분자기 자원 회복’ 사업에 착수하고 있어 그나마 다행이다. 자연산 오분자기를 인공 수정시켜 200만 마리의 종묘를 생산, 이를 종패로 키워 어장에 방류한다는 것이다. 우리는 이 사업이 꼭 성공하기를 바란다.
 그런데 제주바다에서 사라져가고 있는 대표적 패류는 비단 오분자기만이 아니다. 전복-소라 등도 마찬가지다. 줄어들게 된 이유도 비슷할 것이다. 아니 이를 극복하기 위한 인공 증식 노력까지 닮은꼴이다.
 그러나 분명한 것은 아무리 기술이 발달해도 인공 증식으로서 자연 증식을 완전 대체할 수는 없다. 자연산 패류 감소 대책의 하나로 인공증식 사업은 너무나 당연하고도 필요하지만 바다 정화, 먹이류 양식 등 획기적인 자연 증식 사업에도 최선을 다해야 할 것이다.

제주 해양경찰청 신설, 이미 늦었다

 제주도가 21일 행정안전부에 ‘제주지방 해양경찰청 신설’을 건의했다고 밝혔다. 이러한 건의는 제주도가 처음이 아니다. 해경 자체적으로도 정부에 건의했던 사안이다. 우리 또한 본란을 통해 ‘제주지방 해양경찰청’ 신설의 필요성을 누누이 강조해 온지가 오래다.
 제주도 건의가 아니라도 행안부는 제주해양경찰청 설치 필요성을 잘 알고 있을 것이다. 그럼에도 행안부는 왜 아직까지 제주해양경찰청을 설치하지 않고 있는 것일까. 불필요해서가 아닐 줄 안다. 예산 탓일 것이다. 여기에 더해 진짜 이유는 행안부의 소홀에 있을 것이다.
 상당수의 국민들과 정치인-종교인-사회단체들의 강력한 반발에도 21조원이라는 거대한 공사비를 들여 4대강 사업을 밀어붙일 수 있는 힘을 가진 정부가 대한민국 정부다. 그에 비하면 ‘새발의 피’인 제주지방 해양경찰청 하나 설치해 줄 예산이 없다고 한다면 말이 안 된다.
 서귀포시 강정 주민들이 한사코 반대하는 해군기지는 국가 안보상의 이유로 강행하면서도 국가 관할 총 해역의 24.4%를 차지하는 47만1296㎢의 해상 관리와 치안을 담당해야 할 제주지방 해양경찰청은 설치해 주지 않는다면 이런 국가적 모순이 있을 수 없다. 더구나 강정해군기지와 달리 전체 도민이 제주지방 경찰청 신설을 바라고 있음에 서랴.
 제주해역은 중국-일본 등 배타적 경제수역과 해양경계 미 획정으로 인해 해양영토 분쟁 가능성이 상존하고 있는 곳이다. 또한 중국 어선들의 불법조업이 성행하고, 대형 해양사고의 우려도 높은 곳이다. 특히 유사시에는 해경과 군이 긴밀히 협조해야 할 곳도 제주해역 아닌가. 그렇다면 벌써 제주에도 해양경찰청이 설치됐어야 했다. 이미 늦은 감이 있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