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노무현을 떠나보낼 때다

노무현 전 대통령이 서거한 지 어느덧 3년의 세월이 흘렀다. 그 기간에 우리 사회에는 많은 변화가 있었다. 그를 죽음으로 몰아넣었던 이명박 정권도 이제 임기의 종착역에 거의 다다랐다. 그 말로는 처참하다. 국정수행 업적과 도덕성 등 모든 면에서 최악의 정권이라는 평가에 여권도 별다른 반박을 하지 못한다. 정권 핵심과 측근·친인척 비리의 악취는 이미 천하에 진동하고 있다. 이 속에서 국민의 삶은 피폐해질 대로 피폐해졌다.

정치적으로도 큰 변화가 있었다. 궁지에 몰린 여당은 당명까지 바꿨고, 야권에서는 고인을 따르던 정치세력이 중추로 자리를 잡았다. 이른바 ‘친노의 부활’이다. 이런 정치적 소용돌이 속에서 노무현 전 대통령은 한국 사회의 현재와 미래에 대한 고민과 논쟁을 불러일으키는 뜨거운 상징으로 다시 떠올랐다.

노무현 정신으로 거론되는 소통과 참여, 탈권위, 지역균형발전, 지역주의 타파, 분배정의 등의 가치에 이견을 다는 사람은 이제 아무도 없다. 오히려 그 정신의 진가는 날이 갈수록 빛을 발하고 있다. 하지만 노무현 정신이 실제 현실에서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가라는 물음 앞에 마주서면 가슴이 답답해진다. 무엇보다 노무현이라는 세 글자는 기득권 체제에 대한 저항의 상징이었으나 지금의 정치 상황은 기득권 체제가 더욱 공고화되고 있는 양상이다.

지난 3년 동안 노무현 정신의 계승과 발전을 외쳐온 사람들을 지배한 정서는 울분과 분노였다. 하지만 울분과 분노만을 앞세운 정치적 접근 방식에 한계가 있음은 지난 4·11 총선 결과가 잘 말해준다. 결국 정권을 심판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야권이 현 정권보다 훨씬 나은 수권세력임을 보여주는 길밖에 없다.

노 전 대통령이 못다 이룬 꿈을 펼치는 일은 역설적으로 노무현에 대한 부정에서부터 출발하지 않으면 안 된다. 박제화된 노무현, 신격화된 노무현, 미화 일변도의 노무현으로부터 벗어나는 일이다. 그래서 노무현의 정신에 새 생명을 불어넣고, 허공에 매달린 기둥이 아닌 현실의 땅에 굳건히 뿌리박힌 주춧돌로 만들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우선 솔직하고 겸허한 마음가짐부터 가져야 한다. 노 전 대통령이 펼친 정책의 실패와 과오를 인정하는 일을 두려워하지 말아야 한다. 변명이나 궤변으로 책임을 모면하려 해서도 안 된다. 과거의 성취와 한계를 분명히 인정하고 미래를 위한 새로운 대안을 찾아내 이를 현실에서 입증해야 한다.

노 전 대통령은 “깨어있는 시민의 조직된 힘이 민주주의의 최후의 보루”라는 말을 남겼다. 깨어있는 시민의 힘이야말로 올해 정치권의 향방, 나아가 국가의 미래를 결정하는 핵심 키워드다. 하지만 시민의 각성과 자발적 정치 참여는 결코 당위적 주장이나 감성적 호소만으로는 이뤄지지 않는다는 점을 야권은 가슴 깊이 새겨야 한다.

이제는 노무현을 떠나보낼 때다. 기존의 노무현을 넘어서는 새로운 노무현 정신을 만들어야 한다. 끊임없는 변화에 대한 갈망이야말로 노무현 정신의 요체인지도 모른다. 고인이 모든 짐을 내려놓고 저세상에서 편히 쉬길 두 손 모아 기원한다.

 
Time to finally let Roh go

Three years have passed since the death of former president Roh Moo-hyun. Since then, Korean society has changed a lot. The Lee Myung-bak government has almost reached the end of the line. Not even the ruling party would object much to the assessment that this has been a horrible administration in every way, considering its governance of the country and its moral standards. The Lee government has been stunningly corrupt, enriching itself at the expense of the general public, which has grown considerably poorer.

There have been big political changes. Driven into a corner, the ruling party went as far as changing its name. In the opposition camp, followers of former president Roh have come to occupy a central position. This is the so-called “pro-Roh resurrection.” Within this political maelstrom, the former president has resurfaced as a potent symbol, prompting reflection on the present and future of Korean society.

Nobody now disagrees with the values associated with Roh’s spirit, such as communication, participation, post-authoritarianism,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and distributive justice. On the contrary, the true value of this spirit is growing more obvious by the day.

When faced with the question of how Roh’s spirit is actually being realized today, however, we experience frustration. The name “Roh Moo-hyun” above all symbolized resistance to entrenched privilege, but the political situation today is one where the upper class is growing stronger.

For the past three years, the dominant emotions among those promoting the continuance and development of Roh’s spirit have been pent-up anger and rage. The results of the April 11 general election, however, showed that there is a limit to the political approach that puts forth only these emotions. Ultimately, the best way of judging a sitting administration is to show a much better one.

Realizing former president Roh’s dream must, paradoxically, begin with denial of Roh himself. It involves moving beyond the taxidermized Roh Moo-hyun, the deified Roh Moo-hyun and the thoroughly beautified Roh Moo-hyun. We must infuse Roh’s spirit with new life and make it into a foundation set firmly into the ground of reality, rather than floating in the air. In order to do this, we must start by adopting honest and modest mindsets. We must not be afraid of admitting the failures of Roh’s policies. We must not attempt to avoid responsibility through excuses and sophistry. We must clearly admit the achievements and limitations of the past, seek new alternatives for the future and prove them in the present.

Roh left us with the words, “The organized strength of enlightened citizens is the last bastion of democracy.” The strength of enlightened citizens is the keyword that will determine the direction of politics this year, and by extension, the future of the state. The opposition must hold on to a deep awareness, however, that awareness and spontaneous political participation on the part of citizens can never occur through self-righteous assertions or emotional appeals alone.

Now is the time to send Roh Moo-hyun on his way. We must cut away the imagined Roh and create a new one. A longing for change may in fact be the most important element of Roh’s spirit. Let us put our hands together and pray that the deceased can lay down all the baggage he carries and rest peacefully in the next world.

[5.22. 한겨레]

 


 


‘5·24 조처’ 해제하고 정경분리 원칙 살려야

 
이제 빛 잃은 5·24 조처를 해제하고 남북 경협 기업에 대한 실태조사를 벌여 경협 복원을 꾀해야 한다. 남북 경협은 북한의 변화를 유도하고 남북의 경제적 격차를 줄여 통일을 앞당기는 실질적 방안이다. 남북 경협 경색에 따른 피해자는 교류협력의 당사자뿐 아니라 전체 국민이다.


Lift the May 24 measures and get down to business with the North

 
It is too late to undo the damage of the May 24 measures. What the government needs to do now is lift those measures and conduct an examination of the businesses involved in inter-Korean economic cooperation, with an eye toward getting it up and moving again. Narrowing the economic gap between North and South is a useful way of encouraging change in the North and offers a real means of hastening reunification. It isn’t just the people involved in exchange and cooperation that suffer from this state of affairs-it’s all South Koreans. 

[5.23. 한겨레]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