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인일자리 프로젝트-일하는 노년, 매일이 청춘 ①
2025년 초고령사회 진입 전망…작년 기준 제주 노인인구 10년새 갑절 늘어
道 노년기 자아실현·노후소득 보장 기준삼아 공공형·사회서비스 일자리 제공

저출산과 맞물려 고령화에 따른 사회문제는 이제 현실이 됐다. 빠르게 증가하는 노인층의 경제적 자립과 소외감 해소, 육체적 정신적 건강증진을 위해 노인 스스로의 노력만이 아니라 사회 전 구성원 모두의 관심과 노력이 필요한 때다. 노인의 경험을 나누고 일자리로 잇고 있는 사례를 통해 달라지는 노인 사화활동 상을 살펴보고 노인 일자리 확대 방안을 모색해본다. <편집자주>

 

커피박 활용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동그리연구소 모습.
커피박 활용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동그리연구소 모습.

‘천만 노인시대’를 눈 앞에 앞두고 있다.

2년 뒤인 오는 2025년부터 우리나라 전체인구 중 노인 인구수는 20%를 넘어 초고령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통계청의 장래인구특별추계(2021~2060)를 보면 이미 80세 이상 초고령 노인도 2010년 16.9%에서 2021년 23.6%로 증가했다. 이 추세가 지속될 경우 2040년에는 80세 이상 초고령인구가 30%를 넘어 31.5%가 될 것으로 전망되고 20260년에는 45.7%까지 이를 것이라는 예측이 나오고 있다.

▲초고령사회 ‘눈 앞’…일자리 수요층도 ‘변화’

제주지역 상황도 다르지 않다.

지난해 말 도내 65세 이상 노인인구수는 여성 6만5725명, 남성 5만43명 등 총 11만5768명으로 전체 인구수 67만8159명이 17%를 기록하고 있다.

이 같은 추세는 10년 전인 2012년 7만5929명이던 노인인구수가 절반 이상 늘어난 것으로 제주는 2027년 초고령사회가 도래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다.

노년기 자아 실현과 노후소득 보장이라는 두 개의 축으로 지난 2013년부터 추진돼 온 노인일자리정책도 변하고 있다.

현재 제주도가 추진하고 있는 노인일자리사업 유형은 △공공형 일자리 △사회서비스형 △시장형 사업단 △취업알선형 △사회서비스형 선도모델 △시니어인턴십 △고령자친화기업 등이다.

공공형 일자리는 하루 3시간씩 주 3회 참여하는 형식으로 월 27만원의 활동급여가 지급되는데 스쿨존 학교지원봉사, 공공시설봉사 둥 사회공헌활동 등이 해당된다.

사회서비스형은 노인의 경력과 활동 역량을 활용해 취약계층 지원시설과 돌봄시설, 어리이집 등 교사 업무를 지원하는 것으로 월 71만원이 지급된다.

어르신에게 적합한 소규모 매장이나 판매장을 지원하고 전문 직종 사업단 등과 공동으로 운영하면서 일자리를 창출하는 시장형, 수요처의 일정 교육을 수료해 관련 수요처에서 근무를 하는 ‘취업알선형’도 점차 늘어나는 추세다.

▲ 고학력 베이붐세대들의 노년기 진입

특히 지난 2020년부터 현재의 노년층에 비해 상대적으로 경제적 자립능력이나 학력 등 인적 역량이 높은 1955~1963년생인 베이붐세대들이 노년기에 진입도 노인일자리시장의 변화를 일으키고 있다.

노년기에 접어든 베이비붐세대는 전국 697만명으로 전체 인구의 13.9%를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고 있고 도내에는 8만7598(12.9%)명으로 추산되고 있다.

이들은 그동안 가족 부양 등을 하면서 노후준비는 불충분해 지속적으로 일을 하고자 하는 욕구가 높기 때문이다.

또한 학력 수준이나 디지털 친숙도 등이 높아 생산성이 높기 때문에 이들을 활용하지 않는다면 사회적으로도 큰 손실일 수밖에 없다.

▲양적 확장 한계…질적 개선 등 ‘과제’

제주도가 추진하고 있는 노인일자리사업 참가자는 2019년 1만1441명, 2020년 1만2130명으로 소폭 증가했지만 코로나19 팬데믹 영향으로 2021년과 지난해는 각각 1만1116명, 1만1782명으로 2년 전에 비해서는 다소 줄었고 올해는 1만1481명까지 회복했다.

제주도는 2023년부터 오는 2027년까지 제3차 노인일자리 및 사회활동지원종합계획에 따라 양적 확장이라는 한계에 부딪힌 노인일자리의 질적 강화와 여전히 참여수요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는 문제를 해결하면서 신노년세대 등장과 지역사회 수요 다양화 등 변화하는 정책 환경에 대응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또한 현재 제주지역 노인일자리 사업은 제주시·서귀포시시니어클럽을 포함해 제주시 8곳과 서귀포시 4곳 등 총 12곳이 수행하고 있는데 사업량은 계속해서 늘어나고 있고 담당자 처우와 지원 인프라가 정체돼 있어 이 또한 풀어야할 과제로 지적되고 있다.

김문형 제주도 노인복지과장은 “변화하는 사회상에 맞는 노인일자리 발굴을 위해 지난 5월 노한국노인인력개발원과 업무협약을 체결하는 등 사회서비스 영역의 일자리 양적 확충을 고민하고 있다”면서 “초고령사회 지속가능한 노인일자리사업을 위해 수행기관 진입을 활성화하는 등 지역 내 다양한 주체가 참여하는 노인일자리 지역협의체 구성 등도 추진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