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학연구센터 등, 지역언론의 인권 인식 개선방안 세미나
“보도준칙 존재하나 현장의 적용 지표와 실질적 실천은 부족”

제주학연구센터, 제주언론학회, 언론인권학회는 지난 21일 ‘제주학-언론학 교류 세미나 지역 기록의 시선 인권 감수성’을 주제로 세미나를 개최했다.
제주학연구센터, 제주언론학회, 언론인권학회는 지난 21일 ‘제주학-언론학 교류 세미나 지역 기록의 시선 인권 감수성’을 주제로 세미나를 개최했다.

제주학연구센터와 제주언론학회, 언론인권학회는 지난 21일 중앙로에 위치한 제주인권교육센터에서 ‘제주학-언론학 교류 세미나 지역 기록의 시선 인권감수성’에 대한 세미나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선 지역 언론의 인권 인식 실태와 개선 방안을 심도 있게 논의했다.

발표자로 나선 허찬행 ㈔언론인권센터 상임이사는 ‘언론보도 인권 감수성의 현주소와 과제’를 발제했다. 허 이사는 “인권 의식이 지난 10여 년간 전국적으로 성장했다. 하지만 우리 사회 언론 보도 환경에서는 여전히 무의식적·관행적으로 차별과 혐오 표현이 반복 재생산되고 있다”고 밝혔다.

실제 올해 청년·대학생과 함께 수행한 모니터링 프로젝트를 분석한 결과 언론 보도의 인권 감수성에 대한 객관적 지표는 여전히 미흡한 상황임이 확인됐다.

언론은 성별, 출신 지역, 장애, 고용 형태 등과 같이 본질과 무관한 정보를 부각시켰다. 또한 특정 집단을 비하·혐오하는 사례가 반복되고 있었다. 이는 기사 제목과 본문에서 모두 나타났다.

특히 지역 보도의 경우 전국·지역 언론을 막론하고 사건에 지역명을 부각시켜 부정적 편견을 강화시켰다고 말했다. 허 이사는 한 예로 “울릉도 바가지 논란이나 제주 지역 관광·물가 보도에서 실제 문제와 상관없이 지역 전체가 부정적으로 묘사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세미나에선 인권 보도 준칙이 존재하나 현장에서의 적용 지표와 실질적 실천이 부족하다는 한계도 제기됐다.

허 이사는 “법적 책임을 동반하는 1세대 인권보도 영역은 상대적으로 준수되는 반면 성평등 등 2·3세대 인권은 여전히 개선이 필요하다”며 “각 언론사는 인권 침해성 보도 방지와 인권 친화적 보도 확산을 위한 체계적 기준과 모니터링 시스템 구축이 절실하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허 이사는 “언론과 시민사회, 전문가 집단이 지속적으로 협업해 지역 인권 감수성을 높이고 데이터 축적과 현장 실천이 병행돼야 한다”는 점을 공통된 과제로 제시됐다.

저작권자 © 제주매일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